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372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제333호저자유경상, 연준형등록일 2021.11.10조회수 1,183
우리나라 전체면적의 약 0.6%에 불과한 서울시에는 10개 이상의 도시철도 노선과 600개 이상의 버스 노선이 집중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서울은 어디에서나 쉽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
권호제332호저자조달호, 유인혜등록일 2021.11.04조회수 1,401
2014년 이후 글로벌 경기가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업의 창출(스타트업)’뿐 아니라 ‘새로운 성장의 창출(스케일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서울시도 창업지원 정책의 스펙트럼을...
-
권호제331호저자오은주, 유인혜등록일 2021.09.17조회수 341
서울의 서비스업과 제조업 생산지수 모두 상승세 유지 2021년 2/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8.8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해 전 분기 증감률인 6.0%의 기록을 넘어섰다. 「제조업생산지수...
-
권호제330호저자백선혜, 조윤정등록일 2021.09.08조회수 1,091
사회구성원이 다원화되면서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이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성 사회에 진입한 서울시 역시 2017년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
권호제329호저자윤민석, 이영주, 임상욱등록일 2021.08.10조회수 1,577
서울시는 「뇌병변장애인 지원 마스터플랜」 수립 이후 뇌병변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뇌병변장애인은 다른 장애유형과 달리 고용이나 교육에서 제대로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
권호제328호저자황인창, 백종락등록일 2021.07.19조회수 930
서울의 온실가스 배출은 대부분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 과정에 기인한다. 건물의 특성상 현행 명령통제 방식으로는 온실가스 감축에 한계가 있다. 여기서는 시장메커니즘을 활용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총량 관리제 도입을...
-
권호제327호저자오은주, 유인혜등록일 2021.06.28조회수 437
서울의 서비스업과 제조업 생산지수는 기저효과로 모두 상승 2021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5.5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7%...
-
권호제326호저자김승연, 박민진등록일 2021.06.28조회수 3,798
1990년대 말 IMF 경제 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서 크게 쟁점이 된 것은 양극화에 의한 ‘격차사회’였다. 그러나 최근 격차가 재생산되는 가운데 ‘격차’를 넘어 격차를 좀처럼 뛰어넘기 어려운 ‘장벽사회’로의...
-
권호제325호저자김민경등록일 2021.06.08조회수 4,638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에선 1인 가구 비중이 2019년 기준 전체 가구의 33.4%를 차지하여 3가구 중 1가구로 나타난다.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보면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에너지를 적게 쓰지만,...
-
권호제324호저자김범식, 장윤희등록일 2021.05.17조회수 734
국내외적으로 여성기업이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여성기업의 중요성에 주목해 지원정책을 수립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이는 저출산・고령화 등의 상황 속에서 양질의 여성노동력 활용이 중요하고,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