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288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제248호저자주진우등록일 2018.04.10조회수 2,110
서울시 이주노동자는 지난 10년 동안 2.9배로 급증하였지만, 서울시 이주노동자의 노동권은 열악한 상태이다. 고용허가제를 중심으로 한 정부의 외국인력 정책도 비전문 노동력의 임시적 수급에 주로 정책 방향이 맞춰져...
-
권호제247호저자김범식등록일 2018.03.26조회수 1,513
대표적 내수지표인 서울지역 대형소매점 판매액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 서울경제에서 90% 내외에 달하는 「서비스업생산지수」는 2017년 4/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지만 증가세는 전 분기보다 다소...
-
권호제246호저자양재섭등록일 2018.03.22조회수 1,953
서울시 생활권계획은 도시기본계획의 부문별 계획으로, 도시기본계획을 생활권별로 구체화하는 중간단계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 4년간 25개 자치구와 주민 6천여 명의 참여를 바탕으로 전국에서 처음으로 생활권계획을...
-
권호제245호저자변미리등록일 2018.02.28조회수 1,890
새로운 변곡점 맞은 서울시, 포용도시 패러다임에 주목해야 서울의 경제・사회적 불안의 징후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국사회의 성장 동력인 서울의 지위는 약화되고, 청년실업・가계부채 등이 당면과제로 떠올랐다...
-
권호제244호저자정병순등록일 2018.02.02조회수 2,327
현재 시정의 평가제도는 2000년대 초반 이후 심사평가제, BSC(Balanced Score Card) 성과관리제 등을 거치면서 성과주의 패러다임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BSC기반 성과평가제나 민간위탁사업 평가제...
-
권호제243호저자이혜숙등록일 2018.01.12조회수 2,340
자유학기제는 학생이 자신의 특기와 적성을 발견하고 나아가 창의적인 사고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고, 행복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기획에서 도입되었다. 2013년 시범 운영을 거쳐 2016년 모든 중학교로 확대하여...
-
권호제242호저자김범식등록일 2017.12.27조회수 1,995
제조업 생산은 큰 폭으로 하락, 서울경제에서 비중이 큰 서비스업 생산은 증가세 지속 서울경제에서 90% 내외에 달하는 「서비스업생산지수」는 2017년 3/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해 전국보다 높은...
-
권호제241호저자김묵한등록일 2017.12.22조회수 1,879
도시형 제조업은 4차산업혁명과 제조업 부활의 흐름 속에서 다시 주목받아야 할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여기서는 서울시의 주요 도시형 제조업 특성을 파악하고 내부 작동방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
권호제240호저자라도삼등록일 2017.11.14조회수 2,598
2000년 서울시와 중앙정부는 개발 바람을 타고 급격히 와해하는 인사동을 보전하고자 문화지구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제도는 <문화예술진흥법> 개정으로 도입된 이후 2001년 인사동을 문화지구로 지정하고...
-
권호제239호저자원종석등록일 2017.10.19조회수 2,186
화재 대응 때 소방대의 도착이 늦어지면 인명 및 재산 피해는 증가한다. 그동안 화재 대응력은 인구, 면적, 출동건수를 바탕으로 운용하였다. 그러나 화재 대응력은 업무 부담, 인접지원, 지역 취약 요인들이 종합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