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연구원 로고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376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
    제306호
    저자
    이석민, 윤형미
    등록일 2020.08.25
    조회수 3,033

    최근 재난 및 안전 분야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안전도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럽,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많은 나라에서도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을...

  • 권호
    제305호
    저자
    임희지, 양은정
    등록일 2020.07.27
    조회수 2,840

    다세대·다가구주택지의 주차장과 녹지 부족, 상업 침투 및 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주차장과 녹지를 확보하면서 보행화를 추진하는 정비와 연계한 재생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슈퍼블록단위에서 주차장과...

  • 권호
    제304호
    저자
    문인철
    등록일 2020.07.14
    조회수 3,574

    2020년 7월 8일 기준으로 전 세계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진자 수는 약 1,200만 명에 이르고, 사망자 수는 약 55만 명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보건안보 문제를 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 권호
    제303호
    저자
    최봉, 오승훈
    등록일 2020.06.30
    조회수 1,943

    서비스업생산은 소폭 증가, 제조업생산은 큰 폭 하락 2020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09.0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73.9로 전년 동월 대비 21.7...

  • 권호
    제302호
    저자
    유정민, 김정아
    등록일 2020.06.30
    조회수 3,511

    돌이키기 어려운 기후위험을 막기 위해선 지구 온도 상승을 1.5℃ 이하로 억제해야 한다는 국제적인 공감대와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Net Zero) 비전과 전략을...

  • 권호
    제301호
    저자
    신상영, 김상균
    등록일 2020.06.15
    조회수 1,750

    근래 세월호 침몰사고를 비롯하여 우면산 산사태, 경주·포항지진, 감염병 대유행 등 통상적인 예측 범위나 관심권에서 벗어난 대규모 재난이나 새로운 유형의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종 대형재난은...

  • 권호
    제300호
    저자
    김원호, 정상미, 김영범
    등록일 2020.05.28
    조회수 1,066

    자율주행차가 보급되기 시작하면 도로 용량 증대, 안전성 및 이동성 향상 등 많은 부분이 좋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있지만, 통행거리의 증가, 프라이버시 침해와 보안 문제 등 극복해야 할 단점도 존재한다. 이렇듯...

  • 권호
    제299호
    저자
    손창우
    등록일 2020.05.08
    조회수 1,837

    코로나19를 딛고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서울시를 위하여 WHO의 감염병 대유행(pandemic) 선언, 전 세계적 감염 확산과 사망자 속출 전 세계 114개국에서 약 11만 8천 명의 환자, 4,...

  • 권호
    제298호
    저자
    윤서연, 진화연
    등록일 2020.04.29
    조회수 3,076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서울시는 기존 도시공간의 맥락 속에서 스마트산업과 친환경에너지 및 재생정책과의 연계로 ‘시민의 삶을 바꾸는’ 스마트시티를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 권호
    제297호
    저자
    박희석, 반정화, 정현철, 김수진
    등록일 2020.04.07
    조회수 6,490

    코로나19 유행으로 소상공인과 관광업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는 상황  코로나19가 전 세계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코로나19의 유행은 전 세계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세계 경제의...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