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365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제295호저자윤민석, 문진영등록일 2020.03.12조회수 1,701
노인 간병과 요양을 위한 전문 요양보호사 양성 교육기관을 지정‧관리하는 제도인 요양보호사 교육기관 지정제는 2010년 노인복지법 개정으로 도입되었다.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당시 기준을 갖추면...
-
권호제294호저자홍상연, 박세현등록일 2020.03.02조회수 2,157
전 세계의 대도시들은 도시 집중 현상 심화에 따른 도시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 최근 첨단 ICT가 발전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 모빌리티가 주목받고 있다....
-
권호제293호저자손창우, 김정아등록일 2020.02.18조회수 960
지금까지 서울시와 자치구의 보건사업은 서울시·자치구별 건강문제와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중앙정부 주도로 획일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이에 서울시 및 자치구가 직면하고 있는 건강문제는 무엇이며, 건강문제의...
-
권호제292호저자유경상, 정상미, 연준형등록일 2020.02.07조회수 1,124
인구 고령화와 함께 저출산, 비혼 등에 따른 가구의 분화로 1인 가구가 급증하는 등 서울시의 인구·가구 구조가 과거 10년간 크게 변화하였다, 또한, 이 기간에 청년 실업 증가, 계층 간 소득 불균형 심화,...
-
권호제291호저자안현찬, 조윤정등록일 2020.01.23조회수 1,136
주민들이 제안한 공동체 활동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누적 참여자 수가 22.9만 명에 이르는 대표적인 마을공동체 지원책이다. 마을공동체사업은 서울시 보조금과...
-
권호제290호저자최봉, 장윤희등록일 2019.12.23조회수 355
서비스업생산 증가, 제조업생산은 큰 폭 하락 2019년 3/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0.5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104.9로 전년 동월 대비 10.0%의 큰...
-
권호제289호저자민현석, 오지연등록일 2019.12.17조회수 1,722
서울시는 낙후된 지역의 정주환경을 개선하고 고용기반을 창출하는 한편 지역의 문화적 가치와 사라진 공동체를 복원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서울에는 여러 시대에 걸쳐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다양한...
-
권호제288호저자문인철등록일 2019.11.29조회수 546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북한은 경제난 해결을 위한 또 하나의 방법으로 경제개발구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북핵 문제가 해결되고 대북제재가 해제되면 경제개발구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의 대북 투자가 적극적으로...
-
권호제287호저자황인창등록일 2019.11.19조회수 1,142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DB를 활용해 초미세먼지(PM2.5)의 장기 건강영향을 추정하고, 서울시의 초미세먼지로 인한 고령자(만 65세 이상) 조기사망자 수 변화를 전망하였다.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10...
-
권호제286호저자조달호, 유인혜등록일 2019.10.31조회수 498
서울시는 지역 불균형 해소 차원에서 서울 전역에 창업지원시설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지역균형성장을 고려한 이와 같은 서울시 정책은 분명 의미 있는 접근이긴 하지만 산업 집적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