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320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제321호저자오은주, 유인혜등록일 2021.04.07조회수 129
서비스업 생산은 상승 유지, 제조업 생산은 하락 지속 2021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20.3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79.4로 전년 동월 대비 크게...
-
권호제320호저자이민규, 박은현등록일 2021.03.23조회수 142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가 지속가능한 한중 도시 교류・협력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팀별 상이한 제도화 수준과 외부 환경 변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시민의 건강안보 증진을...
-
권호제319호저자김진하, 황민영등록일 2021.03.17조회수 310
코로나19 이후 무점포 인터넷 쇼핑과 같은 비대면 소비의 증가로 2020년 택배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14.3% 성장하였고, 1인당 택배 이용횟수와 택배기사의 수도 크게 늘어났다. 최근의 택배산업은 허브・...
-
권호제318호저자박영민, 어한나, 김나리등록일 2021.03.03조회수 328
‘지방재정 투자심사제도’는 지역 신규 투자사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도로, 자치단체장에게 운영이 위임된 제도이다. 하지만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무리한 투자가 논란이 되면서 중앙의뢰 투자심사 대상이...
-
권호제317호저자주재욱, 윤종진등록일 2021.02.05조회수 777
스마트도시법에 따르면 스마트도시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로 정의된다. 이...
-
권호제316호저자김진하, 황민영등록일 2021.01.26조회수 254
서울시의 산업재해는 대부분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서 발생하였다. 서울시는 최근 5년 동안 광역시・도 중 사고사망자가 가장 적지만 사고사망 감소 속도는 가장 더디다. 중소기업은 인력부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
권호제315호저자최봉, 오승훈등록일 2020.12.24조회수 512
서비스업 생산은 소폭 상승, 제조업 생산은 큰 폭 하락 2020년 3/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2.7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88.0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크게...
-
권호제314호저자황인창, 백종락등록일 2020.12.21조회수 229
도시는 개별 국가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관리와 노출저감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에 도시 간 협력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현실화하여 미세먼지 국제협력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중국의...
-
권호제313호저자이신해, 정상미등록일 2020.12.14조회수 399
서울시의 보행정책은 민선 5기 박원순 시장이 취임한 이후 적극적으로 전개되었다. 2012년 「보도블록 10계명」 선언을 시작으로 보행친화정책이 시정 전반의 정책기조로 확산되었으며, 2016년 「걷는 도시, 서울...
-
권호제312호저자김선웅, 김상일, 성수연등록일 2020.11.26조회수 477
서울시는 ‘2030 서울플랜’을 통해 공간구조를 다핵화하고 용산, 청량리・왕십리, 창동・상계, 상암・수색, 마곡, 가산・대림, 잠실 등 총 7개의 광역중심을 지정하였다. 광역중심은 중심성과 광역성을 고루 갖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