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411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
    제412호
    저자
    맹다미, 성수연
    등록일 2025.01.08
    조회수 657

    서울시는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의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 중심지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심지체계 진단 결과, 중심지별 특성 고려한 기능과 역할 계획 미비, 기능·규모의 편중, 계획과 현황 미스매치...

  • 권호
    제411호
    저자
    김준철, 김혜진, 윤성범
    등록일 2024.12.24
    조회수 156

    2021년 7월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초·중·고생의 21.3%가 채팅이나 SNS를 통해 디지털 성범죄를 경험했으며,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성범죄의 신속한 탐지 및 대응을 위해 AI...

  • 권호
    제410호
    저자
    윤민석, 변금선, 문진영, 이승재
    등록일 2024.11.25
    조회수 701

    서울시의 다양한 노력에도 복지사각지대와 관련된 사건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유형의 복지사각지대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지만, 기존의 전달체계로 대응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사례거나...

  • 권호
    제409호
    저자
    김효미, 이혜진
    등록일 2024.11.18
    조회수 430

    시민의 환경보건에 관한 인식과 정보 수요의 증가에 따라 서울시나 정부, 관련 단체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서울시민은 필요한 정보를 찾기 어렵고 양방향 소통이 잘 안된다고 느끼고 있다. 정보를 제공하고...

  • 권호
    제408호
    저자
    김상현, 최지원
    등록일 2024.10.24
    조회수 548

    현대도시의 일상생활에 중심이 되는 것은 소비활동이다. 소비 중에서도 도시의 특징과 경쟁력을 만들어내고 강화하는 것은 단순한 일상적 소비가 아닌 문화 소비이다. 여기서 문화는 고급문화(high culture)를...

  • 권호
    제407호
    저자
    안현찬, 문진영, 김현정
    등록일 2024.09.27
    조회수 320

    서울시는 다양한 양육 부담과 낮은 사회적 지지를 저출생 문제가 심각해지는 원인으로 진단하고, 2022년부터 양육행복도시 조성을 위한 종합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5대 분야, 15개 추진전략, 52개 사업으로...

  • 권호
    제406호
    저자
    원종석, 김상균, 윤형미
    등록일 2024.09.23
    조회수 411

    이태원 참사 발생으로 서울시에서는 주최자가 없는 다중운집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취약성 측면에서 생활인구 밀집도와 보행 특성 등 서울의 다중운집 실태를...

  • 권호
    제405호
    저자
    주재욱, 윤서연, 김수진
    등록일 2024.08.30
    조회수 719

    서울시의 산업 구조를 보면 우리나라 전체의 산업 구조와 비슷하게 도소매업이 주력을 형성하고 있으나 서비스업의 비중이 큰 것이 특징이다. 특히 도심의 경우 중구는 금융업과 성장산업이, 종로구는 주력산업이 중요한...

  • 권호
    제404호
    저자
    변금선, 박민진
    등록일 2024.08.28
    조회수 466

    청년참여는 서울시 청년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이다. 서울시 청년정책의 태동과 발전 역시 청년의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2020년 제정, 시행된 청년기본법 역시 청년의 참여를 청년정책의 기본...

  • 권호
    제403호
    저자
    김효미, 원종석, 최유진, 이혜진
    등록일 2024.08.05
    조회수 382

    서울시는 지난 20여 년간 대기질 관리정책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및 농도가 저감되었고, 개선된 대기질로 인해 시민의 건강피해는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서울시민의 60% 이상이 지난 10년간 대기오염은...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