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연구원 로고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377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
    제328호
    저자
    황인창, 백종락
    등록일 2021.07.19
    조회수 990

    서울의 온실가스 배출은 대부분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 과정에 기인한다. 건물의 특성상 현행 명령통제 방식으로는 온실가스 감축에 한계가 있다. 여기서는 시장메커니즘을 활용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총량 관리제 도입을...

  • 권호
    제327호
    저자
    오은주, 유인혜
    등록일 2021.06.28
    조회수 440

    서울의 서비스업과 제조업 생산지수는 기저효과로 모두 상승 2021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5.5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7%...

  • 권호
    제326호
    저자
    김승연, 박민진
    등록일 2021.06.28
    조회수 3,993

    1990년대 말 IMF 경제 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서 크게 쟁점이 된 것은 양극화에 의한 ‘격차사회’였다. 그러나 최근 격차가 재생산되는 가운데 ‘격차’를 넘어 격차를 좀처럼 뛰어넘기 어려운 ‘장벽사회’로의...

  • 권호
    제325호
    저자
    김민경
    등록일 2021.06.08
    조회수 4,827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에선 1인 가구 비중이 2019년 기준 전체 가구의 33.4%를 차지하여 3가구 중 1가구로 나타난다.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 보면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에너지를 적게 쓰지만,...

  • 권호
    제324호
    저자
    김범식, 장윤희
    등록일 2021.05.17
    조회수 771

    국내외적으로 여성기업이 단순히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여성기업의 중요성에 주목해 지원정책을 수립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이는 저출산・고령화 등의 상황 속에서 양질의 여성노동력 활용이 중요하고, 미래...

  • 권호
    제323호
    저자
    손창우, 윤민석, 김성아, 조윤정
    등록일 2021.05.04
    조회수 1,364

    고령의 기저질환을 가진 노인들이 집단으로 생활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은 감염병 발생 시 전파의 위험이 높고 중증의 집단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다. 서울시 노인요양시설...

  • 권호
    제322호
    저자
    주재욱, 노승철, 윤종진
    등록일 2021.04.19
    조회수 6,554

    서울시는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변화 추이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 조치를 실시했다. 감염 우려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과 서울시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 조치에 따른 영업활동의 제약으로...

  • 권호
    제321호
    저자
    오은주, 유인혜
    등록일 2021.04.07
    조회수 1,028

    서비스업 생산은 상승 유지, 제조업 생산은 하락 지속 2021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20.3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79.4로 전년 동월 대비 크게...

  • 권호
    제320호
    저자
    이민규, 박은현
    등록일 2021.03.23
    조회수 275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가 지속가능한 한중 도시 교류・협력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팀별 상이한 제도화 수준과 외부 환경 변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시민의 건강안보 증진을...

  • 권호
    제319호
    저자
    김진하, 황민영
    등록일 2021.03.17
    조회수 8,642

    코로나19 이후 무점포 인터넷 쇼핑과 같은 비대면 소비의 증가로 2020년 택배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14.3% 성장하였고, 1인당 택배 이용횟수와 택배기사의 수도 크게 늘어났다. 최근의 택배산업은 허브・...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