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411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
    제11호
    저자
    조항문
    등록일 2008.05.06
    조회수 3,048

    우리나라는 에너지다소비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세계 7위의 석유 소비국가이다.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으나 에너지 절약에 있어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 권호
    제10호
    저자
    김영란.김갑수
    등록일 2008.04.21
    조회수 3,886

    도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열섬현상, 강우편중, 가뭄 등으로 서울의 물순환계의 이상 징후를 표출하고 있다. 서울의 기온은 지난 40년간 1.5℃ 증가하여 지난 100년간 세계 평균 상승치인 0.4~0.8℃의 2.5배...

  • 권호
    제9호
    저자
    김순관.손기민
    등록일 2008.04.07
    조회수 3,784

    2000년 이후 수도권의 외연은 점점 더 확산되는 추세이다. 2006년 수도권 교통센서스 결과 수도권에서 서울로 30km 이상 장거리 통행이 6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나 통근통행의 장거리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 권호
    제8호
    저자
    김상일
    등록일 2008.03.24
    조회수 3,341

    세계 주요 도시들은 저마다 글로벌 도시의 위상을 선점하기 위해 전략거점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 역시 도심, 강남, 여의도 등 기존의 업무 중심지가 포화상태로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필요한 때이다. 마침 용산의...

  • 권호
    제7호
    저자
    정병순.신경희
    등록일 2008.03.10
    조회수 3,652

    제조업 중심의 경제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산업구조의 전환은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고용이 창출되지 않는 ‘고용없는 성장’(Jobless Growth) 사회를 초래하고 있다. 이는 다시 구조적인 실업과 사회 양극화로...

  • 권호
    제6호
    저자
    김경혜
    등록일 2008.02.25
    조회수 3,245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수요 증가로 이어져 가족들의 노인수발 부담을 가중시키고 건강보험 재정 악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 권호
    제5호
    저자
    이혜숙
    등록일 2008.02.11
    조회수 3,066

    21세기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전 생애에 걸쳐 학습이 필요한 평생학습의 시대이다. 지식기반경제, 세계화, 고령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사회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으며, 특히...

  • 권호
    제4호
    저자
    김경철,이광훈,손기민,조항문,고준호
    등록일 2008.01.28
    조회수 3,212

    국제유가는 2007년 18차례의 최고가를 갱신하면서 배럴당 100달러까지 상승하였다. 전문가들은 향후 배럴당 200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9대 에너지 소비국이지만 겨우 3%의...

  • 권호
    제3호
    저자
    나도삼
    등록일 2008.01.14
    조회수 3,525

    1990년대 중반이후 문화산업의 성장으로 문화를 활용하여 도시가치를 높이기 위한 문화전략, 이른바 컬쳐노믹스(culturenomics) 개념이 부상하고 있다. 문화와 경제를 융합한 이 말은 코펜하겐 대학 피터...

  • 권호
    제2호
    저자
    조달호.김세훈
    등록일 2008.01.01
    조회수 3,424

    최근들어 서울경제는 장기 저성장 기조가 고착되는 부진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2001년 이후 6년간 서울의 경제성장률은 평균 2.8%이지만, 이마저도 2002년을 제외하면 1.7%에 불과하다. 전국의 16개...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