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서울시 1・2인 가구 유형별 특성에 따른 주택정책 방향

등록일: 
2012.11.23
조회수: 
6246
저자: 
이재수
부서명: 
도시공간연구실
분량/크기: 
132Page
발간유형: 
기초
과제코드: 
2012-BR-08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61.52 KB)
PDF icon 요약 (3.61 MB)
PDF icon 원본 (15.4 MB)

• 서울의 가구구조 변화를 선도하는 1・2인 가구의 특성과 변화에 대한 종합적 분석 필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서울의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를 선도하는 1・2인 가구는 전통적인 3・4인 이상 가구와 다른 특성을 보임. 서울시 1・2인 가구의 양적 특성과 가구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 주택 및 거주실태, 공간적 거주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 도시관리 및 주택정책을 수립하는 첫 단계라고 할 수 있음.

• 가구특성 변화에 대응한 1・2인 가구를 위한 수요자 중심의 주택정책 변화 필요
-현행 서울시 주택정책은 1・2인 가구의 유형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3・4인 가구 중심, 가구구조 변화와 사회적 양극화로 인한 젊은 가구와 고령 가구의 거주지 분리, 소형・저렴 주택 멸실과 중대형 위주 주택개발로 인한 소형주택 수급 불일치, 1・2인 가구의 부담능력과 삶의 질을 고려하지 않은 소형주택 공급 정책 등의 문제를 나타냄. 서울시 가구특성 변화에 대응한 가구 유형별 수요자 중심의 주택정책으로 방향 모색이 필요함.

• 서울시 1・2인 가구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주택정책 개선방향 모색
-서울시 1・2인 가구의 증가요인, 공간적 거주 유형 및 특성, 연령 및 소득계층별 사회경제적 특성, 주택 및 거주실태와 생활양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함. 이를 통해 서울시 1・2인 가구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주택정책 개선방향을 모색함.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