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서울시정관련 연구동향

2014년 국내외 경제전망, 성장율 3% 중반의 완만한 회복

2013-12
제21호
LGE RI 리포트
LG경제연구원

2014년 국내경제 성장률 3.7%, 경상수지 400억달러, 원/달러 환율 1,030원 예상

2014년 세계경제 성장률 3.5%, 국제유가 100달러 내외 전망

 

LG경제연구원

2014 년 우리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리스크

2014-01
제21호
LGERI리포트
LG경제연구원

대외적 리스크는 미 중의 속도조절로 인한 글로벌 성장세의 ∙ 악영향과 선진국 발 디플레이션

대내적 리스크는 민간부채, 환율 불안정, 대북 불안 및 동북아 리스크 점증

 

LG경제연구원

2014 년 산업 전망

2013-12
제21호
KIET 산업경제

10대 주력산업의 수출은 5.1%, 수입은 5.3% 증가 전망

생산은 모든 업종에서, 내수는 조선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

 

산업연구원

서울시정관련 연구동향 제01호

2013-06
제01호
전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2011 국가브랜드지수 조사결과

2014-02
제01호
SERI
SERI

2011년 국가브랜드지수 조사에서 한국은 50개국 중 실체 기준 15위, 이미지 기준 19위


국가브랜드위원회와 삼성경제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국가브랜드지수 2011년 조사에서 한국은 총 50개국 중 실체 기준 15위, 이미지 기준 19위를 기록했다. 국가브랜드지수 조사는 경제/기업, 과학/기술, 인프라, 정책/제도, 전통문화/자연, 현대문화, 국민, 유명인의 8개 부문을 실체(통계 데이터 125개)와 이미지(36개 문항, 26개국 오피니언 리더 1만 3,500명 대상 설문조사)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2009년부터 연 1회 조사 · 발표하고 있다. 실체는 전년 대비 3단계 상승하며 OECD 평균을 상회하였고, 이미지의 순위는 정체이나 도달률*은 89→93→97로 개선되었다.

* 도달률=국가종합점수+OECD평균점수×100(%)

SERI

한국 관광산업의 업그레이드 전략

2011-09
제01호
SERI
SERI

관광산업은 신한류, IT 등의 강점을 활용하여 트렌드 변화의 기회를 포착해야

'고용 없는 저성장 시대'에는 성장 잠재력이 크고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관광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을 찾은 관광객 수는 2010년 880만 명으로 한국 관광산업의 외형은 확대되었으나 관광상품의 품질은 답보 상태이며, 관광산업 전반의 경쟁력도 취약하다. 관광의 미래 트렌드 변화를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한국 관광산업의 수준을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1) 관광 R&D 투자를 확대해 경쟁력을 제고
-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한 신제품 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R&D 투자 확대
- 정부의 관광 R&D를 활성화하기 위한 추진체계를 정비와 인프라 차원의 R&D에 투자
2)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
- 관광산업과 지역산업을 연계해 경제적 이익의 극대화
- 지역 특화 상품의 차별화를 강화

SERI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Ⅰ)

2011-10
제01호
KDI
KDI

지속적인 고용창출 및 성장률의 제고,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 일자리 창출의 패러다임을 개편해야

KDI

자본시장을 통한 사회적 기업의 재원조달 활성화 방안

2011-06
제01호
KDI
KDI

정부예산이나 자선기금 외에 사회적 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 활성화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 필요


이 연구는 사회적 벤처펀드와 윤리은행 등을 통한 임팩트 투자활성화를 통해 사회적 기업의 재원조달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그 방안으로는 사회적 벤처펀드가 투자할 만한 사회적 기업가의 발굴과 단체의 설립, ‘사랑이 있는 은행’과 같은 착한 은행이 격려되는 분위기 조성, 지금 시작하고 있는 미소금융을 단계적 예금을 바탕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소셜 벤처에 대출을 하며 소셜 벤처 투자기금도 운영하는 윤리은행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KDI

KDI나라경제

2012-05
제01호
KDI
KDI

성과공유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해서 성과를 얻고 그 결실을 사전에 약속한대로 나누는 제도다. 2006년 「대ㆍ중소기업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법」(이하 상생법)에 근거해 만들어졌는데, 최근 상생과 동반성장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건전한 기업생태계를 조성할 수단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정부가 2012년 3월 14일 ‘성과공유제 확산방안’을 수립,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제도 확산에 가속도가 붙었다. 공정한 성과공유 문화가 자리잡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짚어본다.

KDI

서울시정관련 연구동향 제02호

2012-07
제02호
전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