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체감경기지수란
서울지역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현재의 경기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속보성 경기지표로 「서울연구원」에서는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공표하고 있음. 본 조사는 2008년 3/4분기 이후 서울지역 표본 1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표본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는 ±3.1%임. (2009년 3/4분기 조사 시점은 2009년 8월말)
소비자체감경기지수 세부분류
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상회할 경우 소비자들의 현재 경기 판단 및 향후 경기에 대한 예상이 긍정적인 것을 의미.
분류 | 세부 분류 지수 | 비고 |
---|---|---|
소비자태도지수 | (생활형편, 경기판단, 구입태도지수 이용) | 소비자태도지수 |
생활형편지수 | 현재생활형편지수, 미래생활형편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
경기판단지수 | 현재경기판단지수, 미래경기예상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
구입태도지수 | 내구재구입태도지수, 주택구입태도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
소비지출지수 | 현재소비지출지수, 미래소비지출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
순자산, 고용상황전망, 물가예상지수 |
순자산지수 | 현재 소비와 향후 소비 전망 |
고용상황전망지수 | ||
물가예상지수 |
소비자태도지수
서울시민의 전반적인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지수로서, 현재 및 미래의 생활형편, 경기, 내구재구입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판단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지수이다.
◦ 2020년 3/4분기 서울의 「소비자태도지수」는 표준화지수 (표준화지수란 개별지수(5개 항목)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한 후 단순 평균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연도별로 조사되는 시계열의 결과값이 성별, 가구 수, 직업 등의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분기마다 변동이 있기 때문에 표준화한 값을 구한다.) 기준 87.9로 전 분기 대비 1.8p 증가
∙ 「소비자태도지수」의 표준화지수는 전 분기보다 1.8p 증가한 87.9를 기록
∙ 연 가구소득별로는 7,200만 원 이상 가구에서 전 분기 대비 4.8p 올라 가장 크게 상승
∙ 연령별로는 60대가 5.1p 올라 전 분기 대비 가장 큰 상승세를 기록
◦ 3/4분기 이후 올해 서울시민의 「소비자태도지수」는 당분간 기준치(100)를 밑돌 전망
∙ 「소비자태도지수」의 추세는 지속적으로 민생과 직결된 경기상황, 고용지표 등에 따라 움직이는 경향을 보여 왔기에, 코로나19 재확산과 거리두기 단계 격상에 따른 소비위축, 경기 및 고용 침체 등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기준치(100)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
서울지역 소비자태도지수
소비자태도 | 생활형편 | 경기판단 | 구입태도 | ||||
---|---|---|---|---|---|---|---|
현재생활형편 | 미래생활형편 | 현재경기판단 | 미래경기판단 | 내구재구입태도 | 주택구입태도 | ||
2020년 3분기 |
75.20 | 74.40 | 93.20 | 53.10 | 76.20 | 79.00 | 58.50 |
2020년 2분기 |
74.00 | 72.40 | 91.30 | 51.70 | 77.30 | 77.50 | 73.50 |
2020년 1분기 |
70.70 | 73.70 | 85.40 | 47.90 | 67.80 | 78.70 | 52.80 |
2019년 4분기 |
93.30 | 84.90 | 89.10 | 67.00 | 78.90 | 84.60 | 71.90 |
2019년 3분기 |
92.20 | 84.40 | 88.20 | 66.70 | 76.20 | 84.20 | 71.00 |
서울지역 소비자 소비지출지수
소비지출 | 순자산 | 고용상황 | 물가예상 | ||
---|---|---|---|---|---|
현재 소비지출 | 미래 소비지출 | ||||
2020년 3분기 |
97.30 | 83.30 | 93.40 | 65.90 | 123.30 |
2020년 2분기 |
95.30 | 81.30 | 91.60 | 60.90 | 120.50 |
2020년 1분기 |
101.80 | 89.90 | 95.80 | 64.20 | 129.80 |
2019년 4분기 |
112.60 | 96.10 | 92.90 | 72.80 | 137.50 |
2019년 3분기 |
111.70 | 94.60 | 92.00 | 71.20 | 14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