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2019년도 순자산규모 고용상향, 물가지수

소비자체감경기지수란

서울지역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현재의 경기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속보성 경기지표로 「서울연구원」에서는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공표하고 있음. 본 조사는 2008년 3/4분기 이후 서울지역 표본 1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표본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는 ±3.1%임. (2009년 3/4분기 조사 시점은 2009년 8월말)

소비자체감경기지수 세부분류

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상회할 경우 소비자들의 현재 경기 판단 및 향후 경기에 대한 예상이 긍정적인 것을 의미.

소비자체감경기지수(CSI) 세부분류-소비자태도지수,생활형편지수,경기판단지수,구입태도지수,소비지출지수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분류 세부 분류 지수 비고
소비자태도지수 (생활형편, 경기판단, 구입태도지수 이용) 소비자태도지수
생활형편지수 현재생활형편지수, 미래생활형편지수 소비자태도지수
경기판단지수 현재경기판단지수, 미래경기예상지수 소비자태도지수
구입태도지수 내구재구입태도지수, 주택구입태도지수 소비자태도지수
소비지출지수 현재소비지출지수, 미래소비지출지수 소비자태도지수
순자산,
고용상황전망,
물가예상지수
순자산지수 현재 소비와 향후 소비 전망
고용상황전망지수
물가예상지수

순자산 규모, 고용 상황, 물가지수

  • 순자산 규모 : 가구의 부동산 및 금융 자산 등의 가계재산에서 은행대출 등의 가계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의 현황
  • 고용 상황 전망 : 1년 후 고용상황 전망
  • 물가예상 : 1년 전 대비 물가 예상
순자산규모, 고용상황, 물가지수에 대한 그래프 순자산지수와 물가예상지수 모두 하락한 가운데 고용상황전망지수가 가장 크게 하락
○ 2022년 3/4분기 「순자산지수」는 95.2로 전 분기보다 6.2p 하락
∙ 가계의 순자산이 감소한 이유로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이 35.1%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부채가 늘었다’(20.1%), ‘금융자산이 줄었다’(19.2%), ‘지출이 늘었다’(18.9%) 등의 순으로 응답
∙ 연 가구소득별로는 순자산 감소의 주된 이유로 ‘소득이 줄었다’가 가장 많았지만, 2,400∼3,600만 원 미만 가구에서는 ‘지출이 늘었다’(29.1%)가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
∙ 연령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소득이 줄었다’를 순자산 감소의 주된 이유로 꼽았지만, 30대 이하는 ‘지출이 늘었다’(27.0%)가 가장 높게 조사

○ 2022년 3/4분기 「물가예상지수」는 145.4로 전 분기 최고치 이후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
∙ 「물가예상지수」는 전 분기 최고치 이후 5.6p 하락하며 145.4를 기록했지만,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여전히 12.1p 높은 수준
∙ 연 가구소득별로는 대부분의 소득계층에서 「물가예상지수」가 하락한 가운데 7,200만 원 이상 가구가 전 분기보다 9.7p 내리며 가장 크게 하락했고, 연령별로는 50대에서 전 분기 대비 11.2p 내려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

○ 2022년 3/4분기 「고용상황전망지수」는 76.7로 전 분기 대비 16.2p 크게 하락
∙ 「고용상황전망지수」는 지난 3분기 동안 이어온 상승세를 멈추고 전 분기 대비 16.2p 급락
∙ 연 가구소득별로는 모든 소득계층이 하락한 가운데, 특히 6,000∼7,200만 원 미만 가구가 전 분기보다 25.0p 내려 가장 크게 하락
∙ 연령별로도 전 연령대가 하락 전환한 가운데 60대가 전 분기 대비 22.6p 내려 하락 폭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