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411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제91호저자이성창,박현찬등록일 2011.06.16조회수 5,106
노후 공공임대주택의 재고 증가 1989년 이후 지속적인 공급으로 2010년 현재 서울시에는 총 165천호의 공공임대주택이 있다. 공공임대주택은 앞으로 전체 주택재고의 10%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년...
-
권호제90호저자양재섭등록일 2011.05.30조회수 5,044
상업지역에서 주상복합건물의 과다 공급 외환위기 이후 서울의 토지이용에서 눈에 띠는 변화는 주상복합건물의 현저한 증가이다. 1990∼2010년 상반기까지 상업지역에서만 193건의 건물에 42,000여 세대의 주택이...
-
권호제89호저자신상영,맹다미등록일 2011.05.16조회수 7,840
인구 천만의 대도시 서울이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간 균형 발전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지역발전의 성과영역을 ‘경제적 활력’, ‘복지 및 형평성’,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으로 구분하고...
-
권호제88호저자송인주등록일 2011.05.02조회수 5,991
서울의 녹지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푸른도시 서울 사업은 그동안 다양한 공원녹지사업의 추진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녹지 연결에 대한 인식 결여로 사업들간의 연계성이 부족한 점은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
권호제87호저자박은철등록일 2011.04.18조회수 6,570
공동주택 입주민 간의 갈등과 분쟁이 증가하면서 공동주택관리에서 커뮤니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정부는 「주택법」을 개정하여 공동주택관리에 대한 공적 관리를 크게 강화하였지만, 공동체 활성화 등...
-
권호제86호저자최유진등록일 2011.04.04조회수 4,680
서울의 대기질 문제는 이산화황(SO2), 일산화탄소(CO) 등 1차 오염물질보다는 오존(O3),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PM10) 등 2차 오염물질이 문제시되는 선진국형으로 변하고 있다. 개별오염물질...
-
권호제85호저자박희석등록일 2011.03.21조회수 3,758
지속적인 내수 증가로 서울경제는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성장폭은 다소 둔화 서울의 제조업 경기를 반영하는 산업생산지수는 2011년 1월 전년동월대비 1.0% 성장하여 최근 4개월 연속 플러스 증가세를 유지하고...
-
권호제84호저자김경혜등록일 2011.03.07조회수 5,306
고령인구의 증가는 부정적인 문제도 야기하지만 긍정적인 기회요소도 제공 인구구조의 고령화는 노인 부양부담의 증가, 경제성장의 둔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일반적인 전망이다. 그러나 서울이 초고령 사회로...
-
권호제83호저자김범식등록일 2011.02.21조회수 4,246
서비스화 진전 등에 따른 서비스업 고용의 중요성 증대 1990년대 중반 이후 소득증가, 고령화,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에 힘입어 서울경제의 서비스화가 확대되고 있다. 2008년 현재 고용의 서비스화는 86.7%,...
-
권호제82호저자박희석등록일 2011.02.10조회수 4,633
자영업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위상이 지대 서울의 자영업은 대부분이 서비스 업종에 속하며 서울시 전체 사업체의 69.8%가 자영업자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위상이 지대하다. 그러나 외환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