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서울시 베이비붐 세대 일자리특성과 정책방향
  • 등록일2015-09-21
  • 조회수4,317
  • 주제 경제/행재정
  • 저자조달호
  • 과제코드2014-PR_44
  • 분량/크기(page)147
  • 발간유형정책
  • 부서명시민경제연구실
  • 발행일2015-09-21
  • 노후
  • 베이비붐
  • 베이비붐세대
  • 일자리특성
누리마크 이미지

퇴직 시작된 서울 베이비붐 세대 특성․일자리수요 파악할 시점

베이비붐 세대의 맏형 격인 1955년생은 2015년 현재 만 60세이며 막내인 1963년생은 만 52세로 이들의 퇴직은 이미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들의 퇴직 시기에 맞춰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분석과 일자리 연구는 전국적 차원에서 많이 이루어졌지만 공간적 범위를 서울로 한정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기존 통계자료를 활용하면 된다. 하지만 기존 통계자료만으로는 서울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없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기존 통계자료와 함께 서울에 거주하고 있으며 생애 주된 일자리 퇴직 후 적극적인 취업 또는 창업 의사가 있는 베이비부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서울시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과 일자리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일자리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베이비붐 세대 퇴직에 따른 노동시장 충격은 서울이 약할 전망

서울은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으로 인한 노동력 감소의 충격이 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전국은 2차 베이비붐 세대 이후 인구 감소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에 서울은 베이비붐 세대 이후 에코 베이비붐 세대까지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서울은 매년 20대 인구가 2만 명 정도가 유입되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한 서울의 노동시장 충격은 전국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할 것이며, 충격이 오더라도 상당 시점 뒤늦게 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