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 중 13.9%는 베이비붐 세대, 절반 이상이 자가 주택 소유
- 베이비붐 세대는 서울시 인구의 13.9%를 차지, 평균 나이는 만 57.9세로 대부분 은퇴시기에 접어들어
- 베이비붐 세대의 순자산은 3억5천만 원 수준으로 자산의 형태는 부동산이 대부분을 차지
- 평균 부채는 2,494만 원으로 부채용도는 주택구입비용이 44.7%로 가장 많아
- 베이비붐 세대 중 92.2%는 노후를 대비하여 한 가지 이상의 경제적 준비를 하고 있고, 노후준비 방법은 금융자산(76.4%), 공적연금(74.5%), 현재 살고 있는 집(70.3%) 순
베이비붐 세대, 노후에는 가족보다 친구, 자식보다 부부가 좋아
- 노후 여가활동으로는 친목활동(80.4%)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뒤이어 경제활동 참여(77.4%), 취미나 스포츠 활동 참여(73.4%) 순
- 거주형태는 부부가 독립적으로 생활하거나(32.5%) 마음 맞는 사람들끼리 살기를(30.8%) 원하며 자녀와 함께 살겠다는 응답은 2.9%뿐
베이비붐 세대 10명 중 2명은 가정 내 특별한 어려움 없어
- 베이비붐 세대 중 22.9%는 가정 내 특별한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했지만 상대적으로 노후 불안(17.9%)과 수입 부족(14.0%), 가족 건강(12.2%)에 대한 걱정이 많아
- 가족을 제외한 걱정거리 의논상대와 경제적 도움대상은 ‘친구와 동료’가 가장 많지만 2순위는 도움받을 대상 자체가 없어
표 1. 베이비붐 세대 현황(단위: 명, %, 세)
베이비붐 세대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서울시 전체 |
베이비붐 세대 |
비율(%) |
평균 나이 (만) |
내용 |
9,891,448 |
1,372,372 |
13.9 |
57.9 |
주: 베이비붐 세대는 한국전쟁 후 출산율이 급격하게 늘어난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자를 의미 자료: 행정안전부,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2017년 9월 기준)
표 2. 베이비붐 세대 자산 (단위: 만 원, %)
베이비붐 세대 자산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순자산 |
자산 유형 |
부동산 |
금융자산 |
기타 |
합계 |
내용 |
35,016만 원 |
85.5 |
9.5 |
5.0 |
100.0 |
자료 : 서울연구원,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 분석 리포트」
표 3. 베이비붐 세대 부채와 부채용도 (단위: 만 원, %)
베이비붐 세대 부채와 부채용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평균 부채 |
부채 용도 |
주택 구입비용(거주용) |
주택 전월세 보증금 |
교육비 |
생활비 |
투자 및 사업자금 |
이자지출/부채상환 |
자녀결혼/ 분가비용 |
의료비 |
합계 |
내용 |
2,494만 원 |
44.7 |
13.1 |
13.0 |
10.7 |
8.1 |
6.3 |
2.4 |
1.4 |
100.0 |
자료 : 서울연구원,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 분석 리포트」
표 4.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도 (중복응답) (단위: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준비했음 |
노후준비 내용 |
금융자산 마련 |
공적연금 |
현재 살고 있는 집 |
개인연금 |
퇴직금, 퇴직연금 |
주식, 채권 |
기타 부동산 |
내용 |
92.2 |
76.4 |
74.5 |
70.3 |
47.9 |
32.1 |
11 |
8.1 |
자료 : 서울연구원,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 분석 리포트」
표 5.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여가활동 중요도 (단위: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여가활동 중요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친목활동 |
경제활동 참여 |
취미/스포츠 활동 |
가족여가시간 |
자기계발 |
사회단체 활동 |
비노동 휴식 |
내용 |
80.4 |
77.4 |
73.4 |
72.8 |
65.8 |
60.4 |
51.9 |
자료 : 서울연구원,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 분석 리포트」
표 6. 베이비붐 세대가 희망하는 노년기의 거주형태 (단위: %)
베이비붐 세대가 희망하는 노년기의 거주형태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부부만 독립적으로 생활 |
마음 맞는 사람끼리 함께 생활 |
실버타운 입주 |
자녀와 가까이 살면서 도움 받음 |
자녀와 동거 |
내용 |
32.5 |
30.8 |
22.5 |
11.2 |
2.9 |
자료 : 서울연구원,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 분석 리포트」
표 7. 베이비붐 세대의 가정 내 근심거리 (단위: %)
베이비붐 세대의 가정 내 근심거리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특별한 어려움없음 |
노후불안 |
수입이 적어 생활이 여유가 없음 |
가족건강 |
주거비 부담 |
가족의 취업 및 실업 |
자녀 양육, 교육문제 |
과다한 부채, 카드빚 등 |
가족간의불화 |
노인 등 가구원 돌봄문제 |
기타 |
합계 |
% |
22.9 |
17.9 |
14.0 |
12.2 |
8.3 |
7.6 |
7.3 |
5.5 |
2.5 |
1.8 |
0.1 |
100.0 |
자료 : 서울연구원,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 분석 리포트」
표 8. 베이비붐 세대의 걱정거리 의논 대상과 경제적 도움 받을 수 있는 대상 (단위: %)
베이비붐 세대의 걱정거리 의논 대상과 경제적 도움 받을 수 있는 대상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친구, 동료 |
상의할 곳 없음 |
기타 친인척 |
종교인 |
따로 사는 부모 |
이웃 |
따로 사는 자녀 |
전문 상담가 |
합계 |
동거가족 외 걱정거리 의논 대상 |
50.4 |
15.1 |
9.4 |
8.1 |
7.2 |
4.6 |
4.3 |
0.9 |
100.0 |
동거가족 외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대상 |
35.9 |
26.0 |
14.1 |
2.0 |
13.1 |
3.0 |
5.3 |
0.3 |
100.0 |
자료 : 서울연구원,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 분석 리포트」
서울 전체 인구 989만 명 중 베이비붐 세대는 137만 명으로 13.9%를 차지했다(2017년 9월 기준). 평균 순자산은 3억 5천만 원, 부채는 2천 5백만 원이었다. 베이비붐 세대가 원하는 노년기 거주형태는 ‘부부 독립적 생활’(32.5%)이 가장 많았다. ‘자녀와 함께 살겠다’는 2.9%에 그쳤다. 베이비붐 세대의 92.2%는 노후를 준비하고 있었고, 방법은 금융자산(76.4%), 공적연금(74.5%), 현재 살고 있는 집(70.3%) 순이었다. 노후 여가활동으로는 친목활동(80.4%)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