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서울시 간선급행버스시스템 해외 도시와 비교평가

등록일: 
2015.10.21
조회수: 
3344
저자: 
고준호
부서명: 
세계도시연구센터
분량/크기: 
67Page
발간유형: 
정책
과제코드: 
2015-PR-04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1.89 MB)
PDF icon 요약 (5.26 MB)
PDF icon 원본 (3.23 MB)

BRT는 교통시설, 서비스, 기술이 결합된 혁신적 대중교통시스템

BRT는 다양한 교통시설, 서비스, 기술이 결합된 혁신적인 대중교통시스템이다. 흔히 BRT를 중앙버스전용차로로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국내외에서 정의하는 BRT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포함된다. 국제 BRT 평가 매뉴얼(ITDP et al., 2014)에 따르면 BRT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는 버스전용차로 이외에도 요금지불 시스템, 교차로 신호 처리, 노선계획, 추월차로 설치, 정류장 형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BRT 특별법을 제정하여 BRT에 대한 정의 및 설치기준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 법안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 이외에도 교차로 처리, 정류소, 차고지, BMS(Bus Management System), BIS(Bus Information System), 전용차량 등 BRT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다양한 BRT 구성요소를 고려한 서울 BRT 시스템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 상위 수준의 BRT를 구축한 도시의 시스템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더욱 현실적인 분석을 위해 BRT를 구축한 도시들의 여건을 고려하였다.

 

서울 BRT 연장, 2014년 117.5㎞로 10년간 3배 확대 ‘세계 상위권’

서울시는 2004년 7월 대중교통체계 개편과 함께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고자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2004년 4개 구간 36.1km 연장의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를 시작으로, 약 10년 동안 서울시의 지속적인 노선확장 노력 결과, 2014년 기준 총 12개 구간 117.5km 연장으로 확대되었다. 그 결과, 서울시는 10년이라는 단기간에 자카르타, 리우데자네이루, 테헤란 등에 이어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은 BRT 노선을 확보하는 도시가 되었다.

BRT 전용차로 측면에서 서울 BRT는 전일제로 운영되며 교차로 구간을 제외하고는 외부차량의 운행을 엄격히 제한하는 중급 수준인 것으로 파악된다. 보다 상급의 전용차로에서는 교차로에서도 고가도로 등의 입체시설을 설치하여 버스의 이동성을 높이고 있다. 반면, 보다 낮은 수준의 전용차로에서는 시간대별 혹은 구간별로 일반차량의 통행을 허용하기도 하여 버스의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BRT 이용수요도 세계 상위권 ‘버스요금 싸고 통합요금제 운영 때문’

서울 BRT는 타 도시들과 비교해서 매우 높은 수준의 이용수요를 보이고 있다. Global BRT data에 따르면 BRT 일일 수요가 집계된 162개 도시 중 서울은 세계 5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이 이와 같이 높은 BRT 수요를 보이는 것은 기본적으로 서울의 BRT 연장이 길고, 그에 따라 BRT 구간을 운행하는 차량의 대수 또한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BRT 전용차로가 주로 이용수요가 높은 구간을 따라 선정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 또한 서울 BRT 이용수요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BRT 구간 운행 버스의 하루 평균 재차인원은 일반버스에 비해서 두 배 정도 높으며, 특히 BRT 구간을 50% 이상 운행하는 버스의 경우에는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서울 BRT 정류장의 개수는 서울시 전체 버스 정류장 수의 약 5%에 불과한 수준이나 이들 BRT 정류장에서 탑승하는 버스 승차인원은 전체의 3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RT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직관적으로 예측되었던 중앙버스전용차로, 추월차로 등의 BRT 공급 측면의 변수 이외에도 버스요금, 통합요금제 등의 BRT 운영 측면의 변수가 BRT 이용수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BRT의 경우 노선 연장은 긴 편이나 상급 BRT 수준에는 못 미치는 물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BRT 이용수요가 세계 상위권을 나타내는 것은 요인분석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서울 BRT의 운영방법의 우수성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 BRT의 경우 세계 평균보다 낮은 버스요금을 유지하고 있으며, 통합요금제 운영을 통한 버스 간 혹은 지하철로의 자유로운 환승이 이용수요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