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연구보고서

물재생 및 관리산업의 활성화 방안 연구

등록일: 
2010.06.11
조회수: 
3816
저자: 
조용모,윤형호
부서명: 
도시기반연구본부
분량/크기: 
187Page
발간유형: 
정책
과제코드: 
2009-PR
다운로드
PDF icon 목차 (86.64 KB)
PDF icon 요약 (1.4 MB)
PDF icon 원본 (9.95 MB)

이 연구보고서는 물재생 및 관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시 관련 현황과 사업체를 분석하고, 민간투자를 바탕으로 한 소규모 물재생 및 물관리 민간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와 시민들의 물수요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과거에는 먹는 물 등 생활용수로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제는 아파트단지 내 실개천 조성이나 수경시설 설치 등 어메니티(쾌적성)나 재산가치 향상을 위해 물의 사용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렇게 물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물을 공급하기 위한 댐 등 공급시설 확보가 어려워 조만간 물부족 현상이 예견된다. 사실 물부족 현상은 이미 지역적으로나 계절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시지역에서는 하천유지용수가 부족하여 건천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일부 공업지역을 중심으로 물부족 현상이 나타나서 생활용수 확보마저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곳도 있다.

이에 따라 도시에서 재생수의 활용은 갈수록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며, 지역 내 물재생과 물순환은 새로운 물공급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물재생기술의 발달로 소규모 물재생업체가 발생원(Onsite)에서 생활용수를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민간부문에서도 물재생 및 활용에 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시에서의 물재생산업은 조경용수 및 열섬완화용수 등 다양한 세부분야에서 소규모업체의 설립을 촉진하여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정책수요에 따라 물재생 및 관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련된 현황과 사업체를 분석하고, 민간투자를 바탕으로 물재생 및 관리를 위한 소규모 민간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보고서의 구성을 보면, 2장에서는 물재생 및 관리 산업의 현황과 제도를 살펴보고 있으며, 3장에서는 서울시의 물재생 용수량 및 장래 수용량을 분석하고 있다. 4장에서는 시사점을 얻기 위해 국내외 물재생 사례를 검토하고 있으며, 5장에서는 물재생시설의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6장에서는 물재생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서울시 물재생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건의를 하고 있다.

제 3유형: 출처 표시 +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