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울시 제설작업 현황 (’22년 겨울철 제설 종합대책, 서울특별시)
∎ 겨울철 제설 종합대책
∘ (대책기간) ’22. 11. 15. ~ ’23. 3. 15. (매년 4개월간 운영)
∘ (운영기관) 33개소 (본청, 자치구 25, 도로사업소 6, 공단 1)
∘ (제설대상) 8,328km (시도 1,246km, 구도 7,082km)
∘ 대설은 자연재난으로 분류: 재난안전대책본부 구성,
상황별 근무체계: 총 5단계 구분 (평시, 보강, 1단계, 2단계, 3단계)
∘ 제설대책 업무 체계: 평상, 강설, 종료 3단계로 구분
∎ 기관별 제설구역
∘ 市 도로관리과 : 제설대책 작업총괄 및 지휘·감독
∘ 市 도로사업소 : 일반시도(주요간선도로), 한강교량 일부, 자동차전용도로 일부
∘ 서울시설공단 : 자동차전용도로 일부, 한강교량 일부
∘ 자치구 : 자치구도, 일반시도 일부
∎ 제설대책 근무인력 제설장비·자재 현황
∘ 제설기관별 근무인원: (1단계) 4,628명 / (2단계) 8,484명 / (3단계) 14,368명
∘ '22/23 겨울철 대비 제설제 57,000톤 확보
∘ 다목적도로관리차 59대, 제설제 살포장비 362대('21년 기준)
∘ '21년 제설 예산 약 100억원('20년 제설 예산 약 58억원)
∘ 염수분사장치 283개소(시도 80개소, 구도 203개소), 도로열선 213개소(시도 2개소, 구도 111개소)
∎ 제설방법
∘ (제설작업 개요) 제설작업은 도로 노면의 강설 제거 및 결빙방지를 목적으로 시행
∘ (제설제 종류) 염화칼슘, 소금, 환경인증(친환경) 제설제 등 3개 종류 주요 사용
∘ (제설제 살포) 고상(염화칼슘/소금) 단독, 수용액(염화칼슘), 습염식(수용액+소금)
∘ (제설 방식) 제설작업 차량(이동), 염수살포(고정), 열선(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