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서울시 자치구 현금성 복지사업 실태분석과 정책방향
  • 등록일2025-09-22
  • 조회수39
  • 권호제431호
  • 저자황인욱, 신가희, 김수진
  • 주제 사회/복지 , 경제/행재정
  • 발행일2025-09-22
  • 복지사업
  • 현금성 복지사업
  • 지자체 복지사업
  • 지역사회 복지
  • 자치구 복지사업

2019~2024년 서울시 자치구 복지사업 예산에서 현금성 복지사업의 비중은 약 80%를 차지하였고, 이는 기초연금 등 일부 국가 현금성 소득보장 사업이 포함된 결과를 반영한다. 실제 동 시기 자치구 자체 현금성 복지사업 예산의 비중은 전체 복지사업 중 6% 이하로 비교적 작았고 자치구별 편차와 시기별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특히 출산·보훈 분야에서 자치구 간 급여 격차와 이웃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제도적 협의의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자치구가 자체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서울시와 함께 협의·조정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와 관련 현금성 복지사업 검토 도구 등 제도적 대안을 제안하였다.

자치구 복지사업 예산 중 현금성 복지사업이 높은 비중 차지

2019~2024년 기간 대부분 자치구 및 기간에서 현금성 복지사업의 예산 비중이 약 80%에 달했으나 이는 기초연금, 생계급여 등 현금성 소득보장 사업 예산이 포함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해당 기간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현금성 복지사업 예산의 비중이 유지 또는 감소하였으며 이는 특히 2022~2023년 이후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체 현금성 복지사업 예산의 비중은 6% 이하, 자치구별 편차 보여

2019~2024년 기간 대부분 자치구에서 자체(구비 100%) 현금성 복지사업 예산 비중이 최대 약 6%, 최소 약 0.3%로 나타나는 등 비교적 작았고 자치구별로 편차가 컸다. 특히 일부 예외적인 연도별 추세가 관찰돼 타 예산 분류의 시기별 추세에 비해 비교적 큰 변동성을 보였다. 

출산·보훈 등 특정영역에 자치구 간 급여 격차 따른 이웃 효과 발생

보훈 및 출산 등 최근 시의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는 영역에서 관련 현금성 복지사업(예: 보훈예우수당 및 출산축하금)의 1인당 급여 수준 및 대상자가 확대되고, 이때 자치구 간 이웃 효과(neighborhood effect) 및 지역 주민의 욕구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치구 간 협의 결과가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한 첫만남이용권 및 자치구별 출산축하금 사례에서 자치구 간 동일 또는 유사 사업의 급여 격차에 따른 현 제도적 변화 양상을 일부 확인하였다.

이 연구, 서울시 자치구 현금성 복지사업의 체계적 검토 도구 개발

각 자치구가 지역사회 복지 욕구 및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한정적인 예산을 배분할 수 있도록 개별 자치구의 현금성 복지사업의 종합적 영향에 대한 검토 기전 및 자치구 간, 자치구와 서울시 간 등 지자체 간 체계적인 복지사업 협의·조정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자치구가 자체적으로 현금성 복지사업의 타당성, 잠재적인 복지 및 재정 영향 등에 대한 체계적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서울시 자치구 현금성 복지사업의 체계적 검토 도구를 개발하고 기존 서울시 자치구 구청장협의회 체계를 바탕으로 서울시와 자치구 간 복지사업 영역에 특화된 협의·조정 체계 마련을 제안하였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