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3/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키오스크(무인정보단말기) 이용 실태
  • 등록일2022-10-06
  • 조회수639
  • 권호제360호
  • 저자오은주, 유인혜
  • 주제 경제/행재정
  • 발행일2022-10-03
  • 가계부채
  • 무인단말기
  • 무인운영
  • 생활형편
  • 서울경제
  • 소비자체감경기지수
  • 소비지출
  • 체감경기
  • 키오스크
누리마크 이미지

서울 제조업생산 대비 서비스업생산이 더 크게 증가

2022년 2/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24.5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고, 2022년 7월 서울의 「제조업생산지수」도 전년 동월 대비 1.3% 상승한 84.3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내수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6.5% 급등하며 116.4를 기록했다. 「백화점 판매액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4.8% 크게 증가한 반면, 「대형마트 판매액지수」는 0.5% 증가에 그쳤다. 2022년 7월 중 서울의 전체 「취업자 수」는 514만 2천 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1% 증가했지만, 「청년층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3.2% 감소한 90만 명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민 체감경기지수는 전년 동기 수준 이하로 크게 하락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22년 3/4분기 90.7로 전 분기 대비 10.5p 크게 하락하며 지난 5분기 동안의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83.6으로 전 분기 대비 2.6p 하락했고, 「미래생활형편지수」도 6.3p 내린 93.7을 나타냈다. 「현재경기판단지수」 또한 전 분기 대비 12.9p 하락하며 57.9를 기록했고, 「미래경기판단지수」도 21.9p 내린 72.4를 나타냈다. 「현재소비지출지수」도 112.3으로 전 분기 대비 4.0p 하락했고, 「미래소비지출지수」 역시 9.0p 내린 87.3을 기록했다. 「내구재 구입태도지수」 또한 전 분기보다 10.7p 하락한 72.9를 기록했고, 「주택 구입태도지수」도 60.0으로 4.8p 내렸다. 「순자산지수」와 「고용상황전망지수」도 전 분기보다 각각 6.2p, 16.2p 하락했다. 「물가예상지수」도 5.6p 내린 145.4를 기록했지만,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여전히 12.1p 높은 수준을 보였다.

소득수준・나이 불문, 키오스크 서비스 중 ‘행정서비스’ 가장 불편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최근 3개월 동안 키오스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10명 중 9명은 키오스크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키오스크 유경험자의 키오스크 이용 빈도는 ‘2~3일에 한 번’과 ‘1주일에 한 번’이 30%대로 가장 높았다. 키오스크를 자주 접하는 곳은 ‘카페’(30.8%), ‘패스트푸드점’(23.2%), ‘음식점’(16.5%) 순이었으며,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업체의) 무인 운영’(43.2%)과 ‘대기시간 또는 처리시간 단축’(38.3%)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키오스크 유경험자의 60~70%가 주문, 결제 등 기본기능뿐만 아니라 부가 기능 사용도 수월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오스크 이용이 가장 어려웠던 서비스 유형으로 ‘행정서비스’(17.5%)가 지목되었고, 키오스크 이용 시 주된 불편사항은 ‘세부적인 문의 및 요청 불가’(30.4%), ‘화면 크기가 한정적이고, 원하는 상품을 찾기 어려움’(19.8%), ‘현금결제 불가’(19.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