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2/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물가 상승
  • 등록일2022-07-22
  • 조회수403
  • 권호제355호
  • 저자오은주, 유인혜
  • 주제 경제/행재정
  • 발행일2022-07-21
  • 가계부채
  • 가계소득
  • 물가대책
  • 생활형편
  • 서울경제
  • 소비자동향
  • 소비자물가
  • 소비자체감경기지수
  • 체감경기
누리마크 이미지

서울 서비스업・제조업 생산지수 모두 전 분기 대비 상승 폭 둔화

2022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7.7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2022년 4월 서울의 「제조업생산지수」도 전년 동월 대비 1.3% 상승한 85.0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내수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9.5% 오른 119.0으로 기준치(100)를 크게 상회했으며, 「백화점 판매액지수」도 전년 동월 대비 13.9% 증가했지만 「대형마트 판매액지수」는 1.2% 감소했다. 2022년 4월 중 서울의 전체 「취업자 수」는 512만 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2% 증가한 반면, 「청년층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보다 0.2% 감소한 91만 3천 명을 기록했다.

서울시민 체감경기지수는 4년 6개월 만에 기준치(100) 상회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22년 2/4분기 101.2로 전 분기 대비 4.8p 오르면서 4년 6개월 만에 기준치(100)를 상회했다.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86.2로 전 분기 대비 8.7p 상승했고, 「미래생활형편지수」도 1.6p 오른 100.0을 나타냈다. 「현재경기판단지수」는 전 분기 대비 17.0p 크게 올라 70.8을 기록했지만, 「미래경기판단지수」는 3.1p 내린 94.3을 나타냈다. 「현재소비지출지수」는 116.3으로 전 분기 대비 9.0p 크게 상승하면서 2021년 1분기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미래소비지출지수」도 1.5p 오른 96.3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의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2.2p 하락한 83.6인 반면,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64.8로 전 분기보다 18.4p 크게 상승했다. 「순자산지수」는 101.4로 전 분기보다 6.2p 상승했고, 「물가예상지수」는 1.4p 오른 151.0으로 전 분기 대비 상승 폭은 둔화했지만 최근 5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상황전망지수」는 전 분기보다 1.2p 오른 92.9를 나타냈다.

대외적 영향이 물가 상승 주도, 서울시 차원의 물가 대책 마련 필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물가 상승으로 인해 가장 부담이 큰 비용을 조사한 결과, ‘식료품/비주류 음료’가 3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은 ‘전/월세 임차료, 주거시설 유지/보수’(17.8%), ‘자동차 연료비’(9.9%), ‘외식/숙박’(9.8%) 순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물가 상승으로 가장 먼저 소비를 줄일 비용은 ‘외식/숙박 비용’(18.8%)과 ‘문화/여가/여행’ (17.8%) 순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에도 지출을 줄이기 어려운 비용으로는 ‘식료품/비주류 음료’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항목은 가구별 특성에 따라 다소 상이했다. 서울시민의 65% 이상은 대외적인 요인이 현재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서울시 차원에서 ‘공공요금 동결’과 ‘전월세 임대료 안정 대책’, ‘통합물가정보관리’ 등의 물가 대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