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서울시 간선도로망 체계정립에 관한 연구-- 기존도로 정비를 중심으로
  • 등록일1995-12-31
  • 조회수3,975
  • 주제 교통
  • 저자이광훈,김경철
  • 과제코드시정연 95-R
  • 분량/크기(page)144
  • 발간유형기본
  • 부서명도시교통연구부
  • 발행일1995-12-31
  • 간선도로
  • 도로
누리마크 이미지

〔년 도〕1995년
〔부 서〕도시교통연구부
〔연 구 진〕이광훈,김경철,김주현,김응철,오성호,김태형,김웅태,김재령
[보고서절판]
〔연구개요〕
-------------------------------------------------------------------------------------------------------------------

- 대도시의 幹線道路網 體系는 도시의 動脈과 같은 役割을 遂行하는 바 그 도시의 效率性을 決定하는 중요한 잣대이다. 先進外國의 대도시 경우를 보더라도 道路交通의 발전과 함께 幹線道路網 體系를 꾸준히 構築·整備해 왔음을 알 수 있다.

-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서울市는 幹線道路網 體系를 아직 構築하지 못한채 道路建設行政을 遂行해 오고 있다. 그 결과 道路政策의 一貫性 缺如는 물론 道路投資優先順位 決定過程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더우기 急激한 都市化로 인한 新規道路建設用地의 절대부족과 道路建設에 따른 주민의 民願은 앞으로 道路建設行政이 그리 순탄치 않음을 豫見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市도 이러한 시점에서 앞으로 道路建設行政의 방 을 提示할 마스터 플랜(Master Plan)이 절실히 요구되며 그 시작은 幹線道路網 體系定立이 될 것은 틀림이 없다.

- 본 연구는 그동안 서울시가 간선도로망체계를 제대로 갖고 있지 못함으로 인하여 발생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現 시점에서 서울시가 구축해야 할 幹線道路網體系의 基本方向을 설정하는데 연구의 重點을 두었다.

- 幹線道路網體系라 하면 흔히 都市基本計劃이나 交通整備基本計劃에서 제시하고 있는 將來 계획차원의 幹線道路網體系를 떠 올리기 쉬우나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長期 幹線道路網 體系의 틀 속에서 우선 당장 기존도로 체계를 중심으로 구축되어야할 道路整備 차원의 간선도로망체계를 구축·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