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광복 80주년 맞아 광복의 의미를 서울시민과 공유하고 계승하기 위한 정책 마련 필요
  • 등록일2025-07-30
  • 조회수332
  • 주제 문화관광
  • 저자민현석
  • 과제코드2024-OR-81
  • 분량/크기(page)32
  • 발간유형현안
  • 부서명미래공간연구실
  • 발행일2025-07-30
  • 광복
  • 광복80주년
  • 오디오가이드
  • 서울 랩소디
  • 디지털 아틀라스
  • 신한양소전도
  • 서울감성여행
누리마크 이미지

서울 도심 속 살아있는 역사로 만나는 광복의 의미와 현재적 가치

2025년은 1945년 일제로부터 독립한 지 80년이 되는 해로 다양한 관련 프로그램이 서울시 차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우리 연구원도 이러한 여건 변화에 발맞추어 자체적으로 서울의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 서울의 발전 방향을 서울시민과 모색하는 기획연구를 진행하였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광복의 의미를 과거의 역사가 기록된 교과서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서울 한복판에서 생생히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하여 순국열사의 숭고한 희생의 결과로써 광복 의미뿐만 아니라 서울이 오늘날의 번영을 이룰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서 광복의 의미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시민 인식조사와 디지털 체험으로 광복 이후 서울 발전사 조명·공유

이번 연구에서 광복 이후 서울의 굴곡진 역사를 되돌아보는 이유는 서울의 미래비전을 서울시민과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점에서 무엇보다도 미래세대의 적극적인 동참이 요구되었다. 이에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미래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휴대전화를 활용한 오디오가이드와 AI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아틀라스를 제작하였다. 한편 대시민 설문조사로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광복의 의미와 서울시민으로서의 자긍심을 평가하였다. 광복 이후 서울의 발전상을 평가하고 서울시민이 희망하는 서울의 미래상을 살펴보았다.

국가유공자 생활지원·항일유산 정비…서울시, 역사 정체성 확산 추진

서울시가 광복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계승해 나갈 수 있도록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인적·물적·정책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대부분인 국가유공자에 대한 생활 지원사업 확대와 항일·독립운동가의 지속적인 발굴로 광복절의 정체성을 확산하고, 항일·독립운동 관련 장소에 대한 홍보 강화 및 환경개선으로 서울시민의 역사적 자긍심 고취한다. 과거 광복을 통한 자주권의 회복이 서울의 발전과 도약의 밑거름이었던 것처럼 향후 서울의 미래 발전을 위해서는 시민 자주권 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 적극적인 시민참여를 통하여 시민 개개인이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하고 서로가 다른 생각을 포용하며 협력할 수 있는 성숙한 시민사회를 조성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