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서울시 스포츠산업 현황과 발전방향
  • 등록일2025-05-19
  • 조회수271
  • 주제 경제/행재정 , 문화관광
  • 저자반정화, 이보경, 이정현, 장윤희
  • 과제코드2023-PR-44
  • 분량/크기(page)169
  • 발간유형정책
  • 부서명포용도시연구실
  • 발행일2025-05-19
  • 스포츠
  • 스포츠산업
  • 체육시설
  •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 e-스포츠
누리마크 이미지

‘스포츠도시 서울’ 브랜드 이미지 제고 위해 
서울시 특화 스포츠산업 정책·전략 마련해야

서울시, 차별화된 스포츠도시 정책 추진 통해 스포츠산업 육성의 밑거름 만들어야

서울시는 서울의 특성을 바탕으로 차별화할 수 있는 스포츠도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도시 정책이 2000년을 기점으로 이전에는 스포츠 이벤트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뒀다면, 이후에는 다양한 행사나 이벤트를 통해 스포츠가 주체가 된 도시의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견인책을 파악해야 한다. 서울시는 스포츠 행사나 대회 등의 개최를 통해서 서울이라는 도시의 경제적 기여와 스포츠 분야의 서울시만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무엇보다 서울시가 가진 스포츠산업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스포츠도시 서울에 적합한 방향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시 스포츠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스포츠도시로서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행사, 관련 대회 등을 유치하거나 시설, 네트워크 등을 구축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이러한 성과들이 서울시 스포츠산업을 육성시키는 밑거름이 된다.

서울시, 스포츠산업 성장 도모 위해 스포츠 서비스업 우선해 지원 방안 모색해야

국내 스포츠산업은 미래의 혁신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동력이자, 스포츠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첨단 기술을 통한 스포츠산업의 혁신을 가져올 분야로 인지되고 있다. 스포츠산업은 크게 스포츠시설업, 스포츠용품업, 스포츠서비스업으로 분류되며, 서울시는 스포츠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특성을 보인다. 스포츠마케팅업이나 미디어업, 스포츠 여행업 등의 비중이 높으며 매출 등에서도 비교적 두각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 스포츠산업의 성장을 위해 스포츠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사업이나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한다.

서울시, 메가스포츠 유치·스포츠대회 브랜드화 통해 스포츠도시 이미지 제고해야

서울시는 서울시가 가진 자산을 결합하여 스포츠산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스포츠도시로서의 서울시를 알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스포츠도시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 대규모 메가 스포츠 이벤트 유치나 지속가능한 서울형 스포츠대회 브랜드화, 서울시 스포츠 인프라 확대 및 운영 활성화 사업은 하나의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서울시의 전략적 스포츠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스포츠 이벤트/관광 활성화나 e-스포츠산업 육성,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분야 발굴에 초점을 두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서울시 스포츠 전담조직 신설이나 서울시 스포츠산업 진흥 조례 제정을 통해 스포츠산업 육성과 지원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유치에서부터 홍보, 시설 관리에 이르기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서울시의 대표 스포츠 브랜드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이런 스포츠산업의 정책들이 서울시 스포츠산업의 지원을 통해 스포츠 기업을 육성하고 성장시킬 수 있는 밑거름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