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장애인의 운동 주목적은 재활치료(46.3%)였으며, 건강증진, 여가활동이 뒤이어
- 서울시의 장애인은 총 39만 9천 명으로 ‘지체장애인(20만 명)’이 가장 많고 그다음은 ‘뇌병변(4만 4천 명)’, ‘청각/언어(4만 3천 명)’, ‘시각(4만 3천 명)’, ‘지적/자폐(2만 9천 명)’장애인 순
- 최근 1년간 운동을 한 적이 있는 장애인들의 운동 목적은 재활치료(46.3%)가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건강증진(44.6%), 여가활동(7.9%) 순
가장 선호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
- 운동 경험자들이 운동 장소로 꼽은 곳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곳은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40.8%)’이며, 그다음은 ‘복지관 체육시설(16.9%)’, ‘상업 스포츠시설(13.9%)’, ‘집안(13.5%)’ 순
- 운동 비경험자들 또한 운동을 하게 된다면 이용하고 싶은 체육시설로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29.6%)’을 가장 선호했으며, 그다음은 ‘복지관 체육시설(21.2%)’, ‘장애인 단체나 시설(12.7%)’, ‘상업 스포츠시설(11.3%)’ 순
필요한 편의시설은 통행이 쉬운 도로, 휠체어 관련시설, 샤워실 및 탈의실 순
- 장애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편의시설은 ‘다니기 쉽게 만들어진 도로(20.7%)’였으며, 그다음은 ‘승강기/휠체어리프트/경사로(16.5%)’, ‘장애인용 샤워실 및 탈의실(16.5%)’, ‘장애인 전용시설(15.6%)’ 순
표1. 서울시 장애유형별 장애인 분포 (단위: 명)
서울시 장애유형별 장애인 분포를 정리한 표 입니다
지체 |
뇌병변 |
청각/언어 |
시각 |
지적/자폐 |
기타 |
계 |
199,943 |
43,594 |
43,446 |
42,731 |
28,808 |
40,386 |
398,908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표2. 운동의 목적 (단위: %)
운동의 목적을 정리한 표 입니다
재활치료 |
건강증진 |
여가활동 |
기타 |
계 |
46.3 |
44.6 |
7.9 |
1.3 |
100.0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 응답자의 표본크기는 552명(전국 표본크기 2,500명), 95% 신뢰구간에서 표본오차 ±1.93%p(전국 기준)
표3. 운동 경험자와 비경험자가 선호하는 운동장소 (단위: %)
운동 경험자와 비경험자가 선호하는 운동장소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 |
복지관 체육시설 |
상업 스포츠 시설 |
집안 |
근처 학교 운동장 |
장애인 단체나 시설 |
공공체육 시설(학교) |
기타 |
계 |
경험자의 운동장소 |
40.8 |
16.9 |
13.9 |
13.5 |
5.4 |
4.3 |
1.3 |
3.8 |
100.0 |
비경험자가 희망하는 운동장소 |
29.6 |
21.2 |
11.3 |
11.2 |
2.2 |
12.7 |
7.1 |
4.7 |
100.0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 응답자의 표본크기는 552명(전국 표본크기 2,500명), 95% 신뢰구간에서 표본오차 ±1.93%p(전국 기준)
표4. 체육시설에 설치되어야 할 편의시설 (단위: %)
체육시설에 설치되어야 할 편의시설을 정리한 표 입니다
다니기 쉽게 만들어진 도로 |
승강기/휠체어리프트/경사로 |
장애인용 샤워실 및 탈의실 |
장애인 전용시설 |
출입이 쉬운 체육관 출입구 |
장애인용 헬스기구 |
장애인 수영장 입수 보조시설 |
기타 |
계 |
20.7 |
16.5 |
16.5 |
15.6 |
12.2 |
10.6 |
6.0 |
2.0 |
100.0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 응답자의 표본크기는 552명(전국 표본크기 2,500명), 95% 신뢰구간에서 표본오차 ±1.93%p(전국 기준)
2015년 기준 서울의 장애인은 총 39만 9천 명으로, 최근 1년간 운동을 한 적이 있는 장애인의 운동 목적은 ‘재활치료’가 46.3%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건강증진’(44.6%), ‘여가활동’(7.9%), 기타(1.3%) 순이었다. 장애인들이 가장 운동하고 싶은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운동경험자 40.8%・비경험자 29.6%)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체육시설에 설치돼야 할 편의시설은 ‘다니기 쉽게 만들어진 도로’(20.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승강기・휠체어리프트・경사로’가 16.5%, ‘장애인용 샤워실 및 탈의실’이 16.5% 등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