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서울시 자동차전용도로 운영개선 연구
  • 등록일2014-06-05
  • 조회수3,453
  • 주제 교통
  • 저자유경상
  • 과제코드2013-PR-44
  • 분량/크기(page)119
  • 발간유형정책
  • 부서명교통시스템연구실
  • 발행일2014-06-05
  • 간선도로
  • 도로교통법
  • 자동차전용도로
누리마크 이미지

우리나라 자동차전용도로는 1970년에 도로법에서 최초로 규정되었으나 도로교통법 등 관계법령의 정비 미비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다가 1985년이 지나서야 서울·수도권을 필두로 전국적으로 지정·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서울시 자동차전용도로는 1986년 7월 올림픽대로와 노들길이 최초 지정된 이후 2013년 현재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등 총 13개 노선 176.7km가 지정·운영되고 있다.

그동안 자동차전용도로는 도시의 주요 간선도로로서 지역 간 이동성 확보와 교통 소통 및 안전 측면에서 매우 큰 역할을 해 왔다.

그 러나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한 상습적인 정체와 일부구간의 법정 구조·시설기준 미충족, 생활권 단절, 보행/자전거 통행 불편, 도로인접 토지이용 활성화 저해 등으로 인근 지역주민의 지정해제 요구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서울시 자동차전용도로의 운영현황과 실효성 및 법/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자동차전용도로의 존치 필요성과 운영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