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4/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023년 주요 경제 이슈
  • 등록일2022-12-29
  • 조회수650
  • 권호제363호
  • 저자오은주, 유인혜
  • 주제 경제/행재정
  • 발행일2022-12-29
  • 가계부채
  • 가계소득
  • 고용
  • 물가
  • 물가대책
  • 생활물가
  • 생활형편
  • 서울경제
  • 소비자동향
  • 소비자물가
  • 소비자체감경기
  • 주택대출
  • 체감경기
누리마크 이미지

서울 서비스업생산 증가, 제조업생산은 큰 폭 하락

2022년 3/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23.3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고, 2022년 10월 서울의 「제조업생산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6% 감소한 86.8로 나타났다. 대표적 내수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한 124.7을 기록했다. 「백화점 판매액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지만 전 분기보다 상승 폭이 크게 감소했고, 「대형마트 판매액지수」는 0.0%로 보합을 나타냈다. 2022년 10월 중 서울의 전체 「취업자 수」는 510만 7천 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0.7% 증가했고, 「청년층 취업자 수」는 86만 7천 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2% 감소했다.

서울시민 체감경기지수 하락, 전 분기 대비 낙폭은 크게 감소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22년 4/4분기 89.1로 전 분기 대비 1.6p 하락하며 2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전 분기 대비 낙폭은 크게 감소했다.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83.2로 전 분기보다 0.4p 하락했고, 「미래생활형편지수」도 2.2p 내린 91.5를 기록했다. 「현재경기판단지수」 또한 전 분기 대비 1.5p 하락하며 56.4를 기록했고, 「미래경기판단지수」도 3.9p 내려 3분기 연속 하락하며 68.5를 나타냈다. 「현재소비지출지수」도 109.0으로 전 분기 대비 3.3p 하락했고, 「미래소비지출지수」 역시 전 분기 대비 3.4p 내린 83.9를 기록했다. 「내구재 구입태도지수」 또한 전 분기보다 1.8p 하락한 71.1로 조사됐고, 「주택 구입태도지수」만이 전 분기 대비 6.1p 상승한 66.1을 나타냈다. 「순자산지수」와 「고용상황전망지수」도 전 분기보다 소폭 하락했다. 「물가예상지수」도 전 분기 대비 3.4p 내린 142.0을 기록했다.

서울시민은 2023년 경제 이슈로 ‘생활물가’와 ‘가계 빚 증가’ 꼽아

내년 서울시민의 경제 이슈는 ‘생활물가’가 17.6%(1순위 기준)를 차지하며 2년 연속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다음은 작년 순위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주택대출 및 가계 빚 증가’(12.8%), ‘국내 금리 변동’(8.5%), ‘소비심리 및 내수경기’(5.8%), ‘국내 경제 성장률 둔화’(5.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민은 대다수 경제 이슈가 내년에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 가운데, 12개 경제 이슈의 개선 전망 점수 모두 기준치(100)보다 낮게 나타났다. 개선 전망 점수가 가장 높은 경제 이슈는 ‘청년실업 및 고용’(78.5점)이었으며, 그다음은 ‘가계소득’(72.3점),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 문제’(71.2점)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는 52.8점으로 작년에 이어 개선이 가장 힘들 것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