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코로나19 사태가 서울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소상공인 및 관광업 대응 방안
  • 등록일2020-04-07
  • 조회수6,805
  • 권호제297호
  • 저자박희석, 반정화, 정현철, 김수진
  • 주제 사회/복지 , 경제/행재정
  • 발행일2020-04-07
  • 관광시장
  • 긴급재난소득
  • 서울경제
  • 소비위축
  • 소상공인피해
  • 코로나19
  • 코로나극복
  • 코로나지원
  • 코로나피해
누리마크 이미지

코로나19 유행으로 소상공인과 관광업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는 상황 

코로나19가 전 세계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코로나19의 유행은 전 세계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세계 경제의 성장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경제도 코로나19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았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소비심리가 악화(1월 104.2 → 2월 96.9)하여 민간소비 감소로 이어졌으며, 그 결과 국내 대형소매점 판매액과 신용카드 결제액(2월 38.1조 원, 전월 대비 25.7% 감소)은 줄어들었다. 소상공인들은 매출액과 방문객 감소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관광업계도 피해액이 상당하고 고용상황도 악화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과 파급효과를 내수와 외래관광객으로 구분하여 산정

코로나19로 인한 서울의 소상공인과 관광업계는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소상공인과 관광업을 중심으로 경제적 손실액을 추정하여 서울경제에 미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경제적 손실액을 내수(소상공인과 국내 관광업: 음식・숙박, 오락・문화, 기타상품・서비스 업종)와 외래관광객(방한 관광객)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코로나19의 진행 정도를 고려하여 기간별 4단계 시나리오(초기, 확산, 수습, 회복)를 가정해서 손실액과 파급효과를 산정하였다.

코로나19에 따른 내수 피해액은 총 4조 4,137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

코로나19에 따른 서울지역의 총 내수 피해액은 4조 4,137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항목별 손실액은 오락・문화 1조 3,867억 원, 음식・숙박 2조 321억 원, 기타상품・서비스 9,949억 원으로 산정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총 지출감소액(피해액)에 따른 생산유발 손실액은 5조 6,305억 원, 부가가치 유발 손실액은 2조 5,071억 원, 고용유발 감소 인원은 십억 원당 7만 3,768명으로 추정되었다. 음식・숙박 지출감소액 2조 321억 원이 서울시 타 업종에 미치는 총 생산유발 손실액은 2조 5,775억 원, 부가가치유발 손실액은 1조 522억 원, 고용유발 감소인원은 십억 원당 3만 3,689명으로 추정되었다. 오락・문화와 기타상품・서비스 지출감소액 2조 3,816억 원이 서울시 타 업종에 미치는 총 생산유발 손실액은 3조 530억 원, 부가가치유발 손실액은 1조 4,549억 원, 고용유발 감소인원은 십억 원당 4만 79명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