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서울시 행정 경계 유출・입 시내버스의 저공해화 협력 방안
  • 등록일2017-03-30
  • 조회수1,354
  • 권호제226호
  • 저자김운수
  • 주제 기후변화/환경
  • 발행일2017-03-27
  • 배출량
  • 버스
  • 시내버스
  • 저공해
  • 저공해화
  • 행정경계
누리마크 이미지

수도권 대기환경은 최소한의 환경규제만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유재로 인식해 왔다. 그러나 실제 대기질 개선을 위해서는 수도권 3개 시・도의 공동책임 의식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각 자치단체는 행정 경계 유출・입 시내버스 저공해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 하지만 저공해화 정책의 핵심인 경유 버스의 압축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 CNG) 버스로의 교체는 구입보조금 지급 제한과 경제성 미확보 등의 구조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도권 3개 시・도의 시내버스 저공해화를 위한 협력방안의 도출이 시급하다.

행정 경계 유출・입 경유 버스가 수도권 대기질 개선정책의 효과를 반감

서울 시내버스는 2014년에 100% CNG 버스로 전환하였지만, 서울에 진입하는 경기・인천 버스(5,027대) 중 약 35%(1,756대)는 경유 버스로 운행 중이다. 이들이 배출하는 PM(미세먼지)・NOx(질소산화물) 때문에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한 자동차 환경정책의 성과가 반감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행정 경계 유출・입 시내버스가 서울지역에서 배출하는 PM10(10㎛ 이하 미세먼지)은 경기 경유 버스가 2.35톤/년, 인천 경유 버스는 0.13톤/년에 이른다. 특히 시내버스의 저공해화율이 다소 낮은 경기도의 배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은 저공해버스 전용지역, PM·NOx 삭감목표 설정 등 정책 다양

해외 대도시들은 일정 규모 이상 사업자의 저공해․저연비 자동차 구입․운행 유도, 자동차환경관리 계획서 제출의 의무화 등 민간부문과의 역할 분담에 유의하고 있다. 특히 저공해 버스 전용지역 설정과의 연계, 환경자동차 구입에 대한 재정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그리고 인근 자치단체와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공동 대처 등 시내버스의 저공해화 유도 촉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수도권 대기환경관리를 위해 3개 시・도의 구체적인 상생협력 방안과 관리체계 구축이 시급

수도권 대기질 공유자산 보전을 위해 지원금 제도 개선, 오염물질 배출량 관리 강화, 협력적 노선관리 등에 관한 3개 시・도의 협력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지원금 제도는 CNG 시내버스 전환 지원금, 업그레이드 지원금, 환경개선비용 부담금 등을 핵심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배출검사 및 사후관리, 배출가스 인증제도, PM・NOx 평균배출량 도입, 환승주차장 조성과 충전시설 확대 등과 연계해 오염물질 배출량 관리가 강화돼야 한다. 또한 신규 노선에 클린버스 도입 강화, 3개 시・도 협의기능 확대 등으로 노선관리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내버스 저공해화 협력방안의 기대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 공조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서울시 행정 경계 유출입 시내버스가 서울지역에서 배출하는 PM10(10㎛ 이하 미세먼지)은 모두 인천과 경기에서 온 경유 버스에서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버스는 2014년 압축천연가스(CNG) 버스로 전부 교체돼 PM10을 발생시키지 않았다. 행정 경계 유출입 인천・경기 경유 버스를 모두 CNG버스로 교체하면 서울 시내 미세먼지는 연간 2t, 질소산화물은 연간 218t가량 감축할 수 있다. 서울시는 수도권 대기질 보전을 위해 인천・경기 지역과 협력하여 CNG 버스 전환 지원금 제도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