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22년 연구과제) 서울시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 추진 전략
  • 등록일2022-11-30
  • 조회수360
  • 주제 기후변화/환경
  • 저자박세원, 강신영, 양지선
  • 분량/크기(page)35
  • 발행일2022-10-31
  • 자원순환
  • 음식물폐기물
  • 음식물폐기물자원화
  • 바이오가스화
누리마크 이미지

서울시 사료화 공정 개선 방안

▸ (수요처 확대) 품질 모니터링, 품질등급제 도입 등을 통한 홍보확대 및 재활용사업자에 수요처 확보 의무 부여 ([표 1] 참조)
▸ (이물질 혼입) 이물질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비닐류 혼입 방지를 위해 수집 단계에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종량기 설치 확대와 동시에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제 봉투를 생분해성으로 통일함을 제안
    ※ 환경부, 제1차자원순환기본계획에 따르면, 2027년까지 RFID 종량기 보급 100%를 목표로 하고 있음 
    ※ 생분해성 비닐의 경우, 사료화 또는 바이오가스화 공정 조건에서 분해가 가능한 재질임
 

[표 1] 음식물류폐기물 건식 사료 품질등급제(안) 요약

항목 (점수) 배점 평가 (점수)
30점 24점 18점 12점 6점
수분 (30) 배점 30점 24점 18점 12점 6점
% 8 미만 8 이상 ~10 미만 10 이상 ~12 미만 12 이상 ~14 미만 14 이하
조단백질 (30) 배점 30점 24점 18점 12점 6점
% 12 이상 10 이상 ~12 미만 8 이상 ~10 미만 6 이상 ~8 미만 6 미만
염분 (20) 배점 20점 16점 12점 8점 4점
% 0.8 미만 0.8 이상 ~1.2 미만 1.2 이상 ~1.6 미만 1.6 이상 ~2 미만 2 이하
이물질 (20) 배점 20점 16점 12점 8점 4점
% 0.8 미만 0.8 이상 ~1.2 미만 1.2 이상 ~1.6 미만 1.6 이상 ~2 미만 2 이하

* 품질등급: A (90점 이상), B (80~89점), C (70~79점), D (60~69점), E (60점 미만)

건식 사료화 시설의 단계적 통합 바이오가스화 공정 전환을 위한 추진전략(안) 제시 ([표 2] 참조)

[표 2] 서울형 통합 바이오가스화 전환을 위한 추진 전략(안)

단계 사료화 바이오가스화
1단계: 도입기
(2022-2023)
- 고형분: 100% 사료화 공정 유지
- 음폐수: 50% 이상 바이오가스화 전환
※ 음폐수 바이오가스화는 인근 물재생센터 활용
물재생센터 활용 음폐수 처리
생산 바이오가스 50% 이상 에너지 회수*
2단계: 전환기
(2024-2027)
- 고형분: 10~30% 바이오가스화 전환
- 음폐수: 100% 바이오가스화 전환
※ 동일량 바이오가스화 전환계획 수립
물재생센터 활용 고형분, 음폐수 일부 처리
생산 바이오가스 70% 이상 에너지 회수
※ 바이오가스 발전 설비 필수 운영
3단계: 정착기
(2028-2032)
- 고형분/음폐수: 100% 바이오가스화 전환
→ 서울형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확보
생산 바이오가스 90% 이상 에너지 회수
4단계: 안정기 서울형 통합 바이오가스화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