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료화 공정 개선 방안
▸ (수요처 확대) 품질 모니터링, 품질등급제 도입 등을 통한 홍보확대 및 재활용사업자에 수요처 확보 의무 부여 ([표 1] 참조)
▸ (이물질 혼입) 이물질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비닐류 혼입 방지를 위해 수집 단계에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종량기 설치 확대와 동시에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제 봉투를 생분해성으로 통일함을 제안
※ 환경부, 제1차자원순환기본계획에 따르면, 2027년까지 RFID 종량기 보급 100%를 목표로 하고 있음
※ 생분해성 비닐의 경우, 사료화 또는 바이오가스화 공정 조건에서 분해가 가능한 재질임
[표 1] 음식물류폐기물 건식 사료 품질등급제(안) 요약
항목 (점수) |
배점 |
평가 (점수) |
30점 |
24점 |
18점 |
12점 |
6점 |
수분 (30) |
배점 |
30점 |
24점 |
18점 |
12점 |
6점 |
% |
8 미만 |
8 이상 ~10 미만 |
10 이상 ~12 미만 |
12 이상 ~14 미만 |
14 이하 |
조단백질 (30) |
배점 |
30점 |
24점 |
18점 |
12점 |
6점 |
% |
12 이상 |
10 이상 ~12 미만 |
8 이상 ~10 미만 |
6 이상 ~8 미만 |
6 미만 |
염분 (20) |
배점 |
20점 |
16점 |
12점 |
8점 |
4점 |
% |
0.8 미만 |
0.8 이상 ~1.2 미만 |
1.2 이상 ~1.6 미만 |
1.6 이상 ~2 미만 |
2 이하 |
이물질 (20) |
배점 |
20점 |
16점 |
12점 |
8점 |
4점 |
% |
0.8 미만 |
0.8 이상 ~1.2 미만 |
1.2 이상 ~1.6 미만 |
1.6 이상 ~2 미만 |
2 이하 |
* 품질등급: A (90점 이상), B (80~89점), C (70~79점), D (60~69점), E (60점 미만)
건식 사료화 시설의 단계적 통합 바이오가스화 공정 전환을 위한 추진전략(안) 제시 ([표 2] 참조)
[표 2] 서울형 통합 바이오가스화 전환을 위한 추진 전략(안)
단계 |
사료화 |
바이오가스화 |
1단계: 도입기
(2022-2023) |
- 고형분: 100% 사료화 공정 유지
- 음폐수: 50% 이상 바이오가스화 전환
※ 음폐수 바이오가스화는 인근 물재생센터 활용 |
물재생센터 활용 음폐수 처리
생산 바이오가스 50% 이상 에너지 회수* |
2단계: 전환기
(2024-2027) |
- 고형분: 10~30% 바이오가스화 전환
- 음폐수: 100% 바이오가스화 전환
※ 동일량 바이오가스화 전환계획 수립 |
물재생센터 활용 고형분, 음폐수 일부 처리
생산 바이오가스 70% 이상 에너지 회수
※ 바이오가스 발전 설비 필수 운영 |
3단계: 정착기
(2028-2032) |
- 고형분/음폐수: 100% 바이오가스화 전환
→ 서울형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확보 |
생산 바이오가스 90% 이상 에너지 회수 |
4단계: 안정기 |
서울형 통합 바이오가스화 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