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현안보고] 1인가구(고령자)관련 기술 비교
  • 등록일2022-10-25
  • 조회수91
  • 주제 사회/복지 , 디지털/기술
  • 저자강재도
  • 발행일2022-10-25
  • 노인돌봄
  • 스마트돌봄
  • 고령자건강
  • 돌봄업무
누리마크 이미지

Ⅰ. 노인 돌봄 분야 지능정보기술 융합 트렌드

∎ 스마트 돌봄 (IoT + AI)
 ∘ 센서 기반 비대면 돌봄 및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 돌봄 종사자와 수요자 간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 서비스 활성화
 ∘ 규제 완화로 AI와 융합된 진단/의료기기 활용 시작

∎ 지능형 에이전트 (Bigdata + AI)
 ∘ 일상 정보와 의료 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돌봄 서비스 시도
 ∘ 맞춤형 데이터 분석과 추천 서비스를 통한 돌봄 품질 제고
 ∘ 데이터 3법 개정으로 돌봄 현장의 고부가가치 데이터 활용방안 모색

∎ 디지털 전환 (Cloud + Virtualization)
 ∘ 돌봄 시설과 생활공간의 디지털 전환 시작
 ∘ IoT 기반 구독형 돌봄 서비스 시도
 ∘ VR, AR, MR을 활용한 돌봄 콘텐츠 다양화 시도

∎ 서비스 로봇 (Robotics)
 ∘ 신체활동 보조 / 생활 지원 / 정서 지원용 로봇
 ∘ 코로나19 → 비접촉, 비대면 서비스 수요 증가
 ∘ 증강 기술: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통한 돌봄 현안 해결 시도

Ⅱ. 첨단기술 접목한 스마트 돌봄 시스템 분류

∎ 고령자 건강 및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고령자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가족 또는 돌봄 서비스 업체에 통지하는 시스템
 ∘ 고령자 건강 관련 센서 : 센서 매트, 바이탈 센서 (접촉식 센서)
 ∘ 고령자 안전 관련 센서 : 동작감지 센서, 개폐 센서, 스마트 카메라 (비접촉식 센서)

∎ 고령자 커뮤니케이션 보조 시스템
 ∘ 고령자의 생활 및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AI 기능이 탑재된 시스템
 ∘ 탁상형 시스템: AI 스피커 기능 탑재, 고령자 안전 확인, 말벗 기능
 ∘ 로봇형 시스템: AI 기능 탑재, 고령자 안전 확인, 말벗 기능, 레크레이션 기능

∎ 돌봄 업무 경감 시스템
 ∘ 돌봄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과 관리사의 업무를 경감하기 위한 시스템
 ∘ 주요 역할: 돌봄 기록 작성, 고령자 건강관리 자료 수집, 소모품 관리 및 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