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서울연구원 로고

현재 위치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372개의 데이터가 있습니다.
  • 권호
    제323호
    저자
    손창우, 윤민석, 김성아, 조윤정
    등록일 2021.05.04
    조회수 1,313

    고령의 기저질환을 가진 노인들이 집단으로 생활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은 감염병 발생 시 전파의 위험이 높고 중증의 집단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다. 서울시 노인요양시설...

  • 권호
    제322호
    저자
    주재욱, 노승철, 윤종진
    등록일 2021.04.19
    조회수 6,362

    서울시는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변화 추이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 조치를 실시했다. 감염 우려로 인한 경제활동 위축과 서울시의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 조치에 따른 영업활동의 제약으로...

  • 권호
    제321호
    저자
    오은주, 유인혜
    등록일 2021.04.07
    조회수 1,006

    서비스업 생산은 상승 유지, 제조업 생산은 하락 지속 2021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20.3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79.4로 전년 동월 대비 크게...

  • 권호
    제320호
    저자
    이민규, 박은현
    등록일 2021.03.23
    조회수 268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가 지속가능한 한중 도시 교류・협력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팀별 상이한 제도화 수준과 외부 환경 변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시민의 건강안보 증진을...

  • 권호
    제319호
    저자
    김진하, 황민영
    등록일 2021.03.17
    조회수 7,712

    코로나19 이후 무점포 인터넷 쇼핑과 같은 비대면 소비의 증가로 2020년 택배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14.3% 성장하였고, 1인당 택배 이용횟수와 택배기사의 수도 크게 늘어났다. 최근의 택배산업은 허브・...

  • 권호
    제318호
    저자
    박영민, 어한나, 김나리
    등록일 2021.03.03
    조회수 2,921

    ‘지방재정 투자심사제도’는 지역 신규 투자사업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도로, 자치단체장에게 운영이 위임된 제도이다. 하지만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의 무리한 투자가 논란이 되면서 중앙의뢰 투자심사 대상이...

  • 권호
    제317호
    저자
    주재욱, 윤종진
    등록일 2021.02.05
    조회수 3,464

    스마트도시법에 따르면 스마트도시는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정보통신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건설된 도시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로 정의된다. 이...

  • 권호
    제316호
    저자
    김진하, 황민영
    등록일 2021.01.26
    조회수 823

    서울시의 산업재해는 대부분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서 발생하였다. 서울시는 최근 5년 동안 광역시・도 중 사고사망자가 가장 적지만 사고사망 감소 속도는 가장 더디다. 중소기업은 인력부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 권호
    제315호
    저자
    최봉, 오승훈
    등록일 2020.12.24
    조회수 783

    서비스업 생산은 소폭 상승, 제조업 생산은 큰 폭 하락 2020년 3/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112.7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하였다. 「제조업생산지수」는 88.0으로 전년 동월 대비 크게...

  • 권호
    제314호
    저자
    황인창, 백종락
    등록일 2020.12.21
    조회수 1,054

    도시는 개별 국가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관리와 노출저감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에 도시 간 협력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현실화하여 미세먼지 국제협력의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중국의...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