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현재 위치

공지사항

2014 도시인문학 강의 6강 이현군 <서울, 성 밖을 나서다>

등록일: 
2014.08.04
조회수: 
2972

서울연구원, 서울시인재개발원, 서울도서관, 레몬트리가 함께하는 도시인문학강의를 알리는 포스터입니다

인사말   

서울의 시간, 공간, 사람의 주제를 다룬 책 저자를 숲에서 만납니다. 지난 해 숲 속 강의에 이어 올해 도시에 대하여 더 깊이 있는 성찰을 하고자 서울연구원, 서울시 인재개발원, 서울도서관, 레몬트리, 청어람 미디어가 도시인문학 강의를 개최합니다. 서울의 도시공간, 건축, 역사, 철학, 생태를 담으며 그 가운데 도시인문학을 찾아가는 이야기에 서울 시민이 함께 하길 기대합니다. 우면산 솔밭 숲에서 주는 자연의 여유로움을 즐기며 서울과 관련된 책의 저자를 만나는 기회! ‘서울 : 숲에서 책을 만나다’ 강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현군 <서울, 성 밖을 나서다 >   
도시인문학강를 강의할 이현군 작가의 사진기를 만져보는 사진입니다

‘도성 밖을 나선다’의 첫 번째 의미로, 저는 ‘서울은 넓다’라는 관점에서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서울의 역사적 변화과정은 공간적으로 넓어지는 과정이기도 했습니다.
두 번째 의미로, 시간의 측면에서 한양과 서울을 보고자 합니다. 구한말 이후 도성의 성곽이 없어지고 도시가 현대화되면서 서울과 경기가 어떻게, 왜 바뀌게 되었는지, 그래서 지금은 어떠한 모습인지 생각해봅시다.
서울은 도성 밖을 나서면서, 공간적으로 넓어지고 시간적으로 여러 층을 이루는 도시가 되었습니다. 도성 문을 나서는 순간 구한말,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근대화 시기, 현대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도시사都市史를 만나게 됩니다.
책 제목을 『서울, 성 밖을 나서다』로 정한 것도 현재의 서울은 성 밖에 새로 만들어진 도시이기 때문입니다. 성 밖을 나서는 순간, 우리는 새로운 시간과 장소를 만나게 됩니다.


자, 이제 밖으로 나가 걸어봅시다!

 

옛 지도 속 서울 이야기   

서울, 성 밖을 나서기 전 머릿속에 서울을 그려보자. 머릿속 지도에 길이 나오고 길이 열리면 생각도 커진다. 그리고서 서울, 성 밖을 나서자.
사대문을 나서니 조선시대 왕의 사냥터였던 뚝섬과 아차산이 있고, 고양의 옛 중심부를 찾게 되고, 마포·서강·용산은 바다의 종착지였음을, 뚝섬은 강의 종착지였음을 알게 된다. 한강 남쪽 옛 경기도에 가니 안양천 따라 옛 양천이 있고, 탄천 따라 옛 광주도 있다. 옛 성문을 열고 서울을 걸으며 강남에서 한국의 역사를 읽어본다. 강서구 화곡동禾穀洞은 벼농사가 잘되는 곳이었고, 개화동開花洞은 뒷산이 꽃피는 모양, 구로구九老區는 아홉 노인이 장수한 곳, 마곡동麻谷洞은 삼을 많이 심은 곳, 발산동鉢山洞은 산의 모양이 바리때 밥그릇 모양, 강서구 염창동鹽倉洞과 마포구 염리동鹽里洞은 소금과 관련이 있었던 동네, 신월동新月洞은 초승달 모양에서 동 이름을 따온 것임을 알게 된다.

이들을 통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을 더 잘 이해하고 더 사랑하게 될 것이니,
지리학박사 이현군의 『서울, 성 밖을 나서다』를 챙겨 서울을 걸어보자!

 

CLASS SCHEDULE  

날짜  2014년 8월 13일 수요일 오전 10시
장소  서울시 인재개발원 숲 속 강의실 (서초구 남부순환로 340길 57)
수강대상  서울 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
수강신청  8월5일(화)부터 8월11일(월)까지 서울연구원 홈페이지
               ‘도시인문학 강의신청’ 버튼을 눌러 게시판에 신청            
선정자 발표  선착순 신청자에 한하여 개별통보 (email 및 전화)
수강료  무료 
문의  02-2149-1023
주최  서울연구원, 서울시 인재개발원  협찬 서울도서관, 레몬트리, 청어람미디어

    도시인문학 강의신청 버튼입니다.

 

우리시대의 지성, 서울의 도시인문학을 말하다  
도시인문학 강의 강의자 사진입니다

1강(4월) 오영욱(건축가) 그래도 나는 서울이 좋다

2강(5월) 조한(건축가) 서울, 공간의 기억 기억의 공간

3강(6월) 서현(건축가) 빨간 도시

4강(7월) 권기봉(작가) 다시, 서울을 걷다

5강(7월) 김정후(건축가) 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는가

6강(8월) 이현군(지리학자) 서울, 성 밖을 나서다

7강(9월) 고미숙(문화평론가)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8강(10월) 오병훈(한국수생식물연구소 대표) 서울의 나무, 이야기를 새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