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2023년 2/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
  • 등록일2023-07-24
  • 조회수350
  • 권호제375호
  • 저자정병순, 유인혜
  • 주제 경제/행재정
  • 발행일2023-07-21
  • 경기지수
  • 경기판단지수
  • 구입태도지수
  • 생활형편지수
  • 소비자
  • 소비자 체감경기
  • 소비자 체감경기지수
  • 소비지출지수
누리마크 이미지

서울의 서비스업 생산은 증가, 제조업 생산은 감소 지속

2023년 1/4분기 서울의 「서비스업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이 조사 이래 최초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반면, 2023년 4월 「제조업생산지수」는 101.7로 전년 동월 대비 8.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11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갔으나 전월(–16.7%) 대비 감소폭은 축소했다. 내수경기를 대표하는 지표인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2023년 4월 137.0으로 올해 2월 전년 동월 대비 12.0% 크게 상승한 이후 4월 현재까지도 10%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서울 취업자 수는 소폭 증가했으나, 청년층 취업자 수는 지속 감소

2023년 4월 서울의 전체 「취업자 수」는 514만 7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 소폭 증가했지만, 「청년층 취업자 수」는 86만 8천 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 취업자 수」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이 14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가운데 감소폭은 3월 –2.2%에서 4월 –4.9%로 확대되었다.

서울시민의 체감 경기지수는 2022년 2/4분기 이래 4분기 만에 반등

2023년 2/4분기 서울의 「소비자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3.0p 오른 91.0으로, 4분기 만에 상승으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태도지수」를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현재생활형편지수와 미래생활형편지수는 모두 기준치(100.0) 이하에서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지수는 80.2로 전 분기 대비 1.9p 상승했고, 미래생활형편지수는 93.6으로 전 분기 대비 0.4p 하락을 보였다. 현재와 미래의 경기판단지수는 모두 소폭 상승했다. 현재경기판단지수는 전 분기 대비 5.8p 상승한 59.0으로 나타났고, 미래경기판단지수는 전 분기 대비 2.5p 오른 73.3으로 완만한 상승을 이어갔다. 그러나 현재소비지출지수는 110.9로 전 분기 대비 1.4p 소폭 하락했고, 미래소비지출지수는 84.6으로 불과 0.1p 상승하는 데 그쳤다.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73.2로 전 분기 대비 4.3p 상승 반전했고, 주택 구입태도지수 또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기준치(100.0)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