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정책리포트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 전반의 다양한 정책 이슈를 발굴하여 분석함으로써 서울시의 비전 설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작성된 정책보고서입니다.

D.N.A.산업 실태분석을 통해 본 서울의 디지털 전환 대응 산업・공간 정책 방향
  • 등록일2023-05-18
  • 조회수796
  • 권호제370호
  • 저자한지혜, 이가인
  • 주제 경제/행재정 , 디지털/기술
  • 발행일2023-05-17
  • D.N.A.산업
  • 근무방식
  • 도시환경
  • 디지털뉴딜
  • 디지털전환
  • 비대면
  • 업무공간
  • 인력
누리마크 이미지

D.N.A.산업은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데이터(D), 네트워크(N), 인공지능(A)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포괄한다. 이 D.N.A.산업은 앞으로 현대 사회가 맞이하게 될 미래의 실현에 필수적인 인프라이며, 사회・경제 전반은 물론 도시공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미 서울에서는 D.N.A.산업의 집적도가 증가하고 있고, D.N.A.산업에 의해 산업입지와 업무공간의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 서울은 도시경쟁력을 위해 디지털 전환에 주체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에는 D.N.A.산업의 성장 지원과 복합적 도시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디지털 전환 핵심 인프라인 D.N.A.산업은 도시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보유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총칭하는 D.N.A.산업은 디지털 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앞으로 도래할 미래를 실현하고 사회・경제 전반에 많은 변화를 야기할 것이다. 무엇보다 도시공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D.N.A.산업은 기술을 보유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해 역량 있는 인력의 선호지역에 집적하는 한편, 재택근무, 거점오피스 등 다양해진 근무행태 및 업무공간 활용에 따라 여러 지역에 분산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활발한 비대면 업무 또는 거래로 업무공간 간 물리적 접근성의 중요도와 업무공간 자체의 필요성은 낮지만, 반대로, 카페, 길거리, 공원 등의 제3의 공간에 대한 요구는 창의 및 혁신을 위한 휴식과 야외 활동으로 상당하다.

실제로 D.N.A.산업에 의해 서울의 산업입지 및 업무공간 의미 변화

서울에서는 이미 일부 변화가 관찰된다. 공간 제약이 적다 보니 서울 D.N.A. 업체 10개 중 4개가 공유오피스, 오피스텔, 상가, 학교 등 전통적 업무공간이 아닌 곳에 입지하고, 또는 업무중심지가 아닌 주거지역에 업무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활발한 비대면 거래로 다른 업체와의 물리적 거리를 크게 신경 쓰지 않아 서울 D.N.A.산업의 거래 네트워크는 인접 지역 사이보다는 일정 거리 떨어진 산업 집적지 사이에 더 발달해 있다. 주거지 근처 거점오피스 등 다양해진 근무방식에 적합한 업무공간에 대한 수요가 높고, 기업 입지 결정 시에 상권 및 휴식공간과의 접근성 등 도시환경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 주체적 대응에 D.N.A.산업 성장 지원과 복합적 도시환경 조성 필요

서울 D.N.A.산업은 현재 서울 신성장산업 등 다른 산업과의 원활한 상호교류 및 혁신적 융합으로 나아가기 전, 산업 자체의 성장과 성숙이 더 필요한 단계이다. 때문에, 디지털 전환에 주체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는 자금지원, 활용 가능한 데이터 확대, 비즈니스 환경 강화 등 D.N.A.산업 성장 지원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서울의 도시공간이 앞으로도 계속 D.N.A.산업에 매력적일 수 있도록, 관련 산업 밀집지 체계적 개발, 지구중심 위주의 주거지 업무공간 공급, 기존 업무중심지 환경 개선 등 D.N.A.산업의 복합적 공간 수요에 적합한 도시환경 조성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