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연구보고서

정책연구(Policy Research[PR]): 서울시정을 위한 정책개발과 사회동향에 대응하는 연구 기초연구(Basic Research[BR]): 연구원의 역량강화와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을 위한 연구 현안연구(Ordinary Research[OR]): 당면과제 해결을 위하여 단기적으로 수행하는 연구

서울시 도시재생 통한 선형공원 조성사업 효과 진단과 정책 과제
  • 등록일2021-06-22
  • 조회수4,690
  • 주제 기후변화/환경
  • 저자김원주, 허자연, 강원삼, 윤희연
  • 과제코드2019-PR-49
  • 분량/크기(page)123
  • 발간유형정책
  • 부서명안전환경연구실
  • 발행일2021-06-22
  • 경의선숲길
  • 경춘선숲길
  • 공원녹지
  • 공원사업
  • 공원조성
  • 도시계획
  • 도시노후화
  • 도시재생
  • 서울로7017
  • 서울플랜
  • 선형공원
누리마크 이미지

선형공원 내 보조 거점공간도 문화연계 특화
​이용자 충돌 막는 공간 구획·동선 분리 필요

공원녹지 부족한 지역에 도시재생 통한 선형공원 조성사업이 활발히 추진

공원녹지 서비스가 부족한 지역에서 노후화된 도시시설물을 재생하고 주변과 함께 공원으로 조성하는 도시재생을 통한 공원사업들이 활발하게 추진되어왔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민선 6~7기에 만들어진 경의선숲길, 경춘선숲길, 서울로7017 등이 있다. 서울로7017은 2017년 개장한 이후 관광객 2천만 명이 방문하였고, 문화축제의 장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경의선숲길의 연남동 구간은 미국의 센트럴파크처럼 사람이 많이 오가는 곳이 되어 ‘연트럴파크’라는 수식어를 얻게 되는 등 선형공원은 시민들의 산책로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문명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도시 선형공원은 선형 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 때문에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높고 주변 지역과의 연계성이 좋아 상권의 형성, 지역 활성화 등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높은 접근성’ 등 선형공원 특성에 따른 영항 분석 관련 다양한 연구 진행

선형공원은 면적공원과는 다르게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태적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접근성을 지니며 주변 지역과 연계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선형공원의 특성에 따른 영향분석 연구를 살펴보면 토지가격이나 주택가격을 포함한 부동산 가치 변화를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매출액 증가나 상업시설의 변화, 젠트리피케이션 등에 대한 분석으로 파악하는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에도 공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 인식 조사, 이용/보행 패턴 변화 등 이용자에 초점을 맞춘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드물게 범죄율이나 출산율의 변화, 공원 주변 미기후나 소음, 오염, 바람길과 같은 환경 변화 분석과 관련한 연구도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