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시 도로 침수구간 현황
∎ 집중호우로 인한 한강 및 중랑천 등 하전 인근 주요 간선도로 교통통제 발생
∎ 강변북로 상습 침수구간: 한강철교 ~ 한강대교 구간(양방향)
∎ 올림픽대로 상습 침수구간: 한강철교 ~ 한강대교 구간(양방향)
Ⅱ. 한강변 간선도로 상습 침수구간 원인 분석
∎ 팔당댐 방류량이 한강 수위 주요 영향인자
- 팔당댐에서 방류된 물이 한강대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도달시간)은 약 2시간 정도 소요
- 팔당댐은 8월 8일 오전 6시부터 초당 15,000㎥의 물 방류, 이날 오후부터 한강대교의 수위가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팔당댐의 방류량과 한강대교의 수위변화 양상이 동일함
- 이번 폭우에는 한강대교의 수위가 최대 7.37m에 도달했으나, 침수는 발생되지 않음
∎ 강변북로 한강철교~한강대교 구간 선형 검토
- 해당 구간은 한강철교와 한강대교 하부 통과, 평균 표고 약 10.0m 이하의 저지대로 구성
- 홍수주의보 단계(한강 수위 8.5m)에서 표고가 낮은 일부 구간에서는 침수 발생(제방없음)
∎ 올림픽대로 한강철교~한강대교 구간 선형 검토
- 한강철교와 한강대교 하부 통과, 강변북로와 동일하게 평균 표고 약 10.0m 이하의 저지대로 구성
- 홍수주의보 단계(한강 수위 8.5m)에서 표고가 낮은 일부 구간에서는 침수 발생(교량 구간)
Ⅲ. 상습 침수구간 개선방안
∎ 가변식 차수벽 설치
- 한강변 상습 침수 및 일부 저지대 구간에 월류 방지를 위한 가변식 차수벽 설치하여 집중호우 시 수위상승으로 인한 도로침수 및 교통통제 예방
∎ 월류 방지 옹벽 설치
- 한강의 홍수위 여유고보다 높게 월류 방지를 위한 옹벽 설치
∎ 개착식 옹벽 또는 지하차도 설치
- 개착식 옹벽 구간으로 월류 및 침수 방지
- 강변북로 재구조화(지하화) 추진 시 상부 공간 일반도로 등으로 차로폭 축소시 고려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