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카드뉴스 제4호] 코로나19가 바꾼 시민생활
우리는 언제쯤 일상을 회복할 수 있을까?
서울시민 81.4% "3년 이내 일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1년~2년 39.0%
- 2년~3년 30.4%
- 1년 이내 12.0%
- 3년~4년 12.1%
- 4년~5년 1.0%
- 5년 이후 5.5%
※ 자료 : 서울연구원 온라인 설문조사(2020년 9월 8일 ~ 15일간 서울시민 1,000명 대상)
"코로나19가 종식되려면 적어도 1년은 걸리지 않을까요?"
"확진자가 좀 줄어들었다 싶으면 다시 늘어나고... 그래도 3년 안에는 회복되겠죠."
코로나19 이후 어떤 현상이 계속될까?
서울시민 절반 이상 코로나19로 촉발된 "일상의 변화 지속될 것"으로 예상
"기후 위기 및 환경에 관심이 많아진 건 좋은 현상인 것 같아요. 부모들은 그런 것에 관심이 많거든요. 아이들 미래도 걱정이고..."
"코로나19 때문에 기후 위기 및 환경 오염에 관심이 많이 생긴 것 같아요. 그 관심은 팬데믹이 끝나도 계속될 것 같아요. 정부가 방역활동도 계속 강하게 할 것 같고요."
변화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일상생활의 종류(단위: %)에 대한 자세한 수치입니다.
|
코로나19가 종식되도 유지될 것 |
코로나19이전으로 돌아갈 것 |
기후 위기 및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 증대 |
64.1% |
35.9% |
정부의 강력한 방역 활동 |
60.0% |
40.0% |
재택근무, 원격근무, 유연근무제의 확산 |
59.5% |
40.5% |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확산 |
55.6% |
44.4% |
대중교통 기피, 개인이동수단 선호 |
50.6% |
49.4% |
사회적 거리두기 문화의 고착화 |
46.2% |
53.8% |
고밀도의 모임공간 기피 |
39.8% |
60.2% |
※ 자료 : 서울연구원 온라인 설문조사(2020년 9월 8일 ~ 15일간 서울시민 1,000명 대상)
코로나19로 인해 예측되는 도시공간의 변화는?
80.4%의 시민이 코로나19로 인해 고밀도 업무 상업지역의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
"아버지가 자영업을 하시는데 가게 접어야 하느냐 걱정이 많으세요."
업무상업지역 수요가 줄 것이라는 예상에 대한 동의를 정리한 표 입니다
④ 매우 동의
|
③ 약간 동의
|
② 약간 동의하지 않음
|
① 전혀 동의하지 않음
|
동의 (③+④)
|
비동의 (①+②)
|
계
|
11.9
|
68.5
|
17.9
|
1.7
|
80.4
|
19.6
|
100.0
|
코로나19 이후 생활권 단위(걸어서 10분 정도)가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하는 시민도 77.1%
"우리도 유럽처럼 록다운 될 수도 있고, 결국 멀리 못 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요?"
생활권 단위과 중요해질 것이라는 예상에 대한 동의를 정리한 표 입니다
④ 매우 동의
|
③ 약간 동의
|
② 약간 동의하지 않음
|
① 전혀 동의하지 않음
|
동의 (③+④)
|
비동의 (①+②)
|
계
|
18.6
|
58.5
|
20.7
|
2.2
|
77.1
|
22.9
|
100.0
|
재택근무로 인해 넓은 면적의 주택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에는 비동의가 다소 높게 나타남(54.0%)
"재택근무도 하고 수업도 온라인으로 하니까 아무래도 집에 식구들이 있는 시간이 많잖아요"
넓은 면적 주택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에 대한 동의를 정리한 표 입니다
④ 매우 동의
|
③ 약간 동의
|
② 약간 동의하지 않음
|
① 전혀 동의하지 않음
|
동의 (③+④)
|
비동의 (①+②)
|
계
|
9.2
|
36.8
|
45.2
|
8.8
|
46.0
|
54.0
|
100.0
|
※ 자료: 서울연구원 온라인 설문조사(2020년 9월 8일~15일간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
코로나19로 인한 관계의 변화는?
코로나19 때문에 관계가 멀어진 집단 1순위는 '취미활동 동아리' (해당없음은 표시하지 않음)
코로나19로 인한 관계 변화를 정리한 표 입니다
|
취미활동 동아리
|
동창· 동문회 등 지인
|
이웃
|
종교 공동체 (교회·절·성당등)
|
친척 친지
|
절친한 친구
|
동료(직장/학교)
|
가족
|
관계가 멀어짐
|
55.3
|
54.6
|
44.9
|
42.6
|
39.4
|
37.1
|
35.2
|
14.1
|
관계가 가까워짐
|
1.7
|
1.8
|
1.2
|
0.5
|
1.7
|
3.3
|
2.2
|
15.2
|
※ 자료: 서울연구원 온라인 설문조사(2020년 9월 8일~15일간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
코로나19 이후 서울시의 중요한 의제는?(6점 척도)
시민들은 서울시가 앞으로 '시민 안전'을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
- 감염병 시대의 시민안전 5.21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배출 감소와 그린뉴딜 4.77
- 감염병에 대응한 도시계획 변화 4.74
- 비대면 경제와 산업혁신 4.59
- 새로운 안보 개념의 등장과 도시간 협력 4.59
- 뉴노멀시대 서울의 교통 4.57
- 언택트 사회 공동체의 변화 4.50
※자료: 서울연구원 온라인 설문조사(2020년 9월 8일~15일간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
[서울인포그래픽스]코로나19가 바꾼 시민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