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 도〕1995년
〔부 서〕도시교통연구부
〔연 구 진〕조중래,박은미,나희진,이주행,김인경,조정민,김익기
[보고서절판]
〔연구개요〕
----------------------------------------------------------------------------------------------------------------------
- 최근 들어 서울시 交通問題 해결의 실마리를 대중교통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는 데 많은 노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에 大衆交通의 서 스 개선 및 利用增進方案 마련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 장래 지하철 2기가 개통되고 나면 지하철과 연계수단간의 환승, 지하철간의 환승 등 換乘通行이 급증하게 될 전망이다. 일정한 노선을 가진 대중교통을 이용함에 있어 환승은 불가피하게 발생되 , 대중교통 이용자의 불만사항중에 환승으로 인한 불편이 가장 크다는 것은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이처럼 편리한 환승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大衆交通 시설계획時 이용자의 편리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중교통 이용율 증가에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大衆交通手段間 連繫體系 확립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수단 연계체계 구축에 그 목적을 두고, 이를 통하여 대중교통 이용율을 증진시키며 승용차 이용자의 대중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유도할 수 있는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를 구축하여 서울시의 교통혼잡 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환승다발지역을 중심으로한 대중교통수단간 환승시설의 개선 및 정비 방향을 제시하여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환경 제공을 도모하였다. 그 다음으로, 도시공간구조상의 지역특성과 사회경제지표를 바탕으로 한 지역별 통행현황과 환승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통의 요충지 및 주요시계유출입지점에 환승센터 설립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에 역할과 위계를 부여함으로써 종합적인 환승체제의 틀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대중교통 환승체계 구축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서,대중교통환승센터 구축의 법제도적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들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특성과 교통환경을 고려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시행가능한 안을 제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