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카드뉴스

서울연구원에서 만드는 카드뉴스입니다.

현실이 된 자율주행 서울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 제35호
  • 등록일2024.11.06
  • 조회수954
  • 자율주행
  • 자율주행자동차
  • 자율주행 전용 지하도로

 카드뉴스 제35호 서울연구원 The Seoul Institute 현실이 된 자율주행 서울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자율주행차는 운전 자동화 단계에 따라 6단계로 구분되며 레벨이 높아질수록 완전자율주행에 가깝습니다. 단계 정의 제어주체 운영주체 레벨0 운전자가 모든 것 통제 인간 인간 레벨1 속도, 차간거리, 차선 유지 인간/시스템 인간 레벨2 측정 상황 일정 시간보조 주행 시스템 인간 자율주행차로 분류 레벨3 특정 조건에서 자율주행 시스템 인간 레벨4 대부분 도로에서 자율주행 시스템 인간 레벨5 모든 상황에 자율주행 시스템 인간​​
 세계 주요 완성차 기업 중심으로 레벨3의 수준의 자율주행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많은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관련 법규 마련과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관련 법제도 개정을 통해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차 운행이 가능해졌습니다. 레벨3 수준 자율주행 가능! COMMUTER BUS 자율주행차 선제적 규제혁파 로드맵 2018 )대한민국 정부
 2021년, 서울시도 자율주행 비전 2030을 발표하며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자율주행 비전 2030 5대 과제 자율주행자동차 거점 조성 청계천 자율주행버스 운행 대중교통수단으로 자율주행버스 정착 공공서비스 분야 자율주행차 기반 도시관리 도입 시 전역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AUTOMATIC DRIVING
 그렇다면 시민들은 자율주행에 얼마나 기대하고 있을까요?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시 통행시간의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자율주행차 시간가치 조사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며 서울로 출근하는 시민 1,400명 통행시간의 가치란? 통행자가 한 단위의 통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지불할 의향이 있는 금액 가치가 감소하면 선택 가능성이 증가
 승용차의 경우, 자율주행차 도입 후 통행시간가치가 약 20% 감소하며, 이에 따라 승용차 통행량이 140%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도입 전 12,000원 도입 후 9,600원  통행시간의 가치 20% 감소 승용차 통행량 140% 증가
 자율주행차 시대에 증가하는 승용차 교통량을 수용하려면, 도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지만 가용부지 확보, 환경 이슈 등 현실적인 벽이 존재합니다. 한편, 친환경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로 지상부 도로의 차로를 축소하고 지하화하는 추세입니다.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이 쉽지 않아요! 지하화 어때요?
 이에 서울연구원이 제안합니다. 첫째,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지하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를 확충해야 합니다.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지하 네트워크 L 자율주행 전용 지하물류센터 물류센터도 함께!
 둘째,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에 대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셋째,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과 관련 법제도의 정비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합니다. 교통수단 간 연계와 통합관리/운영 지상부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 능동적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안 전용 네트워크 운영 방안, 법제도 정비

[서울연구원 카드뉴스 제35호] 현실이 된 자율주행 서울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모빌리티 기술의 혁신은 승용차와 대중교통의 경계를 허물고 통행행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그에 대응한 새로운 교통관리 전략의 수립이 필요합니다.

서울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미래 교통관리 전략을 제안합니다.

첫째,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지하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를 확충해야 합니다.

둘째,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에 대비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셋째, 자율주행자동차 전용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과 관련 법제도의 정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출처: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대응한 도시교통관리 방향: 자율주행 전용 지하도로 중심으로, 유경상·홍상연·한영준·이진학·기현균,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2023)

기획 및 제작: 연구성과확산팀 윤지예, 오승훈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대응한 도시교통관리 방향: 자율주행 전용 지하도로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