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카드뉴스

서울연구원에서 만드는 카드뉴스입니다.

변화하는 교통환경에 대응하는 서울시 교통관리 전략
  • 제34호
  • 등록일2024.09.30
  • 조회수1,117
  • 자율주행자동차
  • 미래교통
  • 미래 모빌리티
  • UAM
  • 도심항공모빌리티

카드뉴스 제34호 변화하는 교통환경에 대응하는 서울시 교통관리 전략
 미래의 교통여건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변화가 예상됩니다.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1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 가치관의 다변화 등이 교통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인구구조의 변화 아~ 옛날이여 가치관의 변화 (c: 할미 10분 뒤에 잠실에서 보자​​
 또한 광역화로 인해 통행 거리가 증가할 것이며, 전기차와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발전으로 도시의 교통환경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COMMUTER BUS 장거리 통행도 자율주행으로 편안하게~ 광역 노선
 미래 모빌리티 기술 혁신은 승용차와 대중교통의 경계를 허물며, 교통 혼잡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이 달라집니다. 이로 인해 기존 교통관리 전략의 유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 교통정책 흐름의 변화 1980 1990~ 2000~ 2010~ 2020~ 교통 인프라 승용차 대중교통중심 친환경 교통 건설 시대 수요관리 교통체계 인프라 구축 ?
 미래 교통의 큰 변화로는 여러 가지가 예상되며, 그중 하나가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입니다. UAM은 2040년까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도시에서는 이를 반영한 새로운 교통 정책이 필요합니다. 2040년 세계 UAM 시장 규모 자료: KPMG 글로벌, 2019 6,090억 달러 2023~2040년, 연간 31% 증가 ||| |||
 또 다른 중요한 변화는 자율주행자동차입니다. McKinsey&Company(2019)에 따르면, 자율주행자동차는 2040년 기준으로 전체 차량의 약 6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전체) 66.0% 자율주행차(서비스용) 55.0% 세계 자율주행자동차 시장 규모 자료: McKinsey&Company, 2018, The Future of mobility is at our doorstep 비자율주행차(개인용) 29.0% 비자율주행차(서비스용) -5.0% 자율주행차(개인용) 11.0%

[서울연구원 카드뉴스 제34호] 변화하는 교통환경에 대응하는 서울시 교통관리 전략

지속적인 인구 감소, 1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 가치관의 다변화, 광역화, 전기차 및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향후 교통여건이 크게 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혁신은 승용차와 대중교통의 경계를 허물고 교통혼잡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 또한 변화시킵니다. 따라서 기존 교통관리전략으로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출처: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대응한 도시교통관리 방향: 자율주행 전용 지하도로 중심으로, 유경상·홍상연·한영준·이진학·기현균,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2023)

기획 및 제작: 연구성과확산팀 윤지예, 오승훈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대응한 도시교통관리 방향: 자율주행 전용 지하도로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