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카드뉴스

서울연구원에서 만드는 카드뉴스입니다.

삶의 질을 높이는 보행 일상권
  • 제33호
  • 등록일2024.06.28
  • 조회수2,020
  • 보행일상권
  • 15분도시

카드뉴스 제33호 삶의 질을 높이는 보행 일상권
 서울시는 2023년 1월 확정 공고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보행일상권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보행일상권 나를 중심으로 하는 일상생활권의 개념으로 내가 사는 집을 중심으로 주거를 비롯한 업무, 소비, 여가, 문화 등 다양한 활동을 도보 기준 30분 내로 걸어서 누릴 수 있는 자족적인 생활권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서울도시기본계획은 20년 후를 내다보고 서울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도시가 발전해나가야 할 틀을 제시하는 법정계획입니다. OPEN DOO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 & m) 보행일상권이 매우 중요합니다!!!
 보행일상권 개념 기술융합주거공간 수변여가 L 공유/거점 오피스 LIVE *문화공간 녹지공간주 지역기반 일자리 지하철역 개성있는 지역상점 W-P 모빌리티(허브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물리적 환경 ▶인구 7~8만명 ▶행정동 2~4개 자연환경 ▶ 20여 개 크고 작은 공원녹지 ▶ 약 3km 하천과 1km 이상 수변공간 중심지 ▶ 2~4개 역세권 ▶ 100개 지역공공의료시설 문화·환경시설 ▶ 10여 개 전시·공연 등 문화시설 ▶ 50여 개 생활서비스시설 ▶분산형 자원순환시설
 프랑스 파리, 미국 포틀랜드, 호주 멜버른을 포함하여 국내외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n분 도시' 정책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도시 건설을 지향합니다. 일상생활의 편의와 이동시간 단축에 초점을 맞추는 보행일상권 조성도 'n분 도시' 정책이라 볼 수 있습니다. 파리 15분 도시개념도 SE DÉPENSER BIEN MANGER CIRCULER SE SOIGNER APPRENDRE TRAVAILLER PARTAGERET REEMPLOYER CHEZ MO!. SE CULTIVER, SENGAGER 45 S'APPROVISIONNER S'ACRER 자료: 파리시 홈페이지
 보행일상권 범위 (역세권) 거점과 거점 간 연결성, (지구중심) 거점에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 제공 나로부터 거점까지의 연결성 친환경 교통수단, 마을버스 15~20분 , 도보 15~20분 일상생활 서비스까지의 근접성, 2040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보행일상권을 구체화한 예시
 보행일상권 지향 가치 하나, 근접성 어떻게 실현할까요?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일상적 필수 기능 확충 개인교통수단 및 자전거를 포괄하는 복합환승공간 확대
 둘, 다양성 어떻게 실현할까요? 용도 복합 지역 거점 거점 성격 명확화 용도 복합을 통해 지역 거점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 지원 보행일상권별 특성 고려, 거점의 성격 명확화 및 그에 부합한 복합공간 조성 유도 제한된 토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유휴공간 생활SOC시설 복합화 및 유휴공간의 시간대별 활용 활용
 셋, 연결성 어떻게 실현할까요? 도보, 자전거 등 다양한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유도 지역내 거점 및 시설간 연결성 강화 생활권 내 이면도로 및 보행로 개선 이웃과의 상호 연결을 위한 지역 내 정보 제공 확대 이웃간 네트워크 형상을 위한 공공공간 확보

[서울연구원 카드뉴스 제33호] 삶의 질을 높이는 보행 일상권

서울시는 2022년 ‘살기 좋은 나의 서울’의 실현을 위해 보행일상권을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보행일상권은 나를 중심으로 하는 일상생활권의 개념으로 주거지에서 15~20분 내 일상생활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근접성, 다양성, 연결성을 지향합니다.

서울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보행일상권의 실현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안합니다.

첫째, 기존 생활권계획의 재정비와 연계하여 추진해야 합니다.

둘째, 지역자원을 활용한 보행일상권 육성 및 정비, 연결성 향상을 위한 가로활성화 및 지역별 특화 기능의 육성이 필요합니다.

셋째, 보행일상권의 단계적 추진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기존 도시계획사업 및 역세권활성화사업과 연계하고, 보행환경, 생활 SOC관련 사업의 우선순위를 높일 필요성이 있습니다.

넷째, 서울시 도시계획조례에 보행일상권 관련 조항을 추가하는 등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야 합니다.

(출처: 다양한 도시계획·제도 활용과 서울만의 특성 살려 이동시간 줄이고 삶의 질 높이는 '보행일상권' 실현, 맹다미·양재섭·성수연,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2023)

기획 및 제작: 연구성과확산팀 윤지예, 오승훈

다양한 도시계획·제도 활용과 서울만의 특성 살려 이동시간 줄이고 삶의 질 높이는 '보행일상권'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