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서울연구원로고

ENG

카드뉴스

서울연구원에서 만드는 카드뉴스입니다.

양육자의 정신건강, 어떻게 증진할 수 있을까요
  • 제32호
  • 등록일2024.02.26
  • 조회수1,775
  • 양육자 정신건강
  • 양육 스트레스
  • 양육
  • 양육자

카드뉴스 제32호 양육자의 정신건강, 어떻게 증진할 수 있을까요
 엄마 미워!~ 멘탈 붕괴 부모들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이유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됩니다.​​
 부모의 행복은 성장하는 아이의 행복과 직결되고 저출산 대책의 전제가 될 수 있습니다. 행복한 엄마 아빠 셋째 가져볼까?
 그러나 지금까지 양육 관련 연구와 정책들은 자녀에 중점을 두어 왔고 양육 당사자인 부모의 웰빙과 행복은 등한시되어왔습니다. 아빠를 대변하는 정책은 없을까? 00시 아이사랑 패키지 아동 지원 기존 양육 정책 아이 상담 뭔가 소외된 기분이야!
 이에 서울시는 2022년 전국 최초 양육자의 행복에 초점을 맞춘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를 시행했고, 올해부터는 저출생 극복의 의지를 담아 관련프로그램을 한층 더 보완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엄마 아빠 행복프로젝트 탄생 서울프로젝트 안심돌봄 편한외출 예비양육자 지원 임산부 지원 건강힐링 일생활균형 돌봄·주거 인프라 양육친화일 환경
 서울연구원은 양육자의 정신건강과 양육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서울시 양육자의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실태 대상 서울 거주 0~9세 자녀 양육자 555명 기간 2022년 9월 26일 ~10월13일
 설문조사 결과 부모의 경제수준이 낮거나 자녀의 연령이 어리고 여가활동을 하지 않고 돌봄 분담 만족도가 낮을수록 양육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세한 설문조사 결과는 보고서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서울연구원이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첫째 양육지원 서비스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육아 정보를 엄마아빠 행복 젝트 한눈에! 돌봄 공백은 아이돌보미로 해결! 양육 관련 정보 제공 창구 마련 공공 돌봄서비스 확대 및 수준 제고
 둘째 부모 건강지원, 모니터링 및 고위험군 발굴에 대한 노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아이와 함께하는 요리프로그램 등록했어요! 부모의 정신건강이 제일 중요합니다! 양육자 건강증진 온라인 프로그램 제공 아이와 함께하는 부모 힐링 프로그램 개발 고위험군 신속 발굴, 상담 서비스 제공
 셋째 일·가정 양립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중소기업 근로자도 육아휴직 맘편하게 자영업자를 위한 육아정책이 필요합니다! 정규직 대상으로 실질적인 일·가정 양립 지원 방안 마련 자영업자, 특수고용직 대상 일·가정 양립 지원 대책 마련
 넷째 아빠와 엄마가 함께 자녀를 돌보는 문화를 확산해야합니다. 밥 잘 떠주는 우리 아빠 엄마와 아빠가 함께하는 양육문화 확산 아빠 대상 부모 교육 및 육아 프로그램 운영
 양육자가 행복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 조성을 위해 서울연구원이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정신건강 스트레스 연구보고서 서울시 양육자의 정신건강·양육스트레스 실태분석과 지원방향 김성아 김정아 서울연구원 The Seoul Institute 카드뉴스 기획 및 제작 | 연구성과확산팀 윤지예/오승훈

[서울연구원 카드뉴스 제32호] 양육자의 정신건강, 어떻게 증진할 수 있을까요?

부모들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됩니다.

서울연구원은 양육자의 정신건강과 양육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 서울시 양육자의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실태
- 대상: 서울거주 0~9세 자녀 양육자 555명
- 기간: 2022년 9월 26일~10월 13일

설문조사 결과, 부모의 경제수준이 낮거나, 자녀의 연령이 어리고, 여가활동을 하지 않고, 돌봄 분담 만족도가 낮을수록 양육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문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연구원이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첫째, 양육지원 서비스·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합니다.
- 양육 관련 정보 제공 창구 마련
- 공공 돌봄 서비스 확대 및 수준 제고

둘째, 부모 건강지원, 모니터링 및 고위험군 발굴에 대한 노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 양육자 건강 증진 온라인 프로그램 제공
- 아이와 함께하는 부모 힐링 프로그램 개발
- 고위험군 신속 발굴, 상담 서비스 제공

셋째, 일·가정 양립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 정규직 대상으로 실질적인 일·가정 양립 지원 방안 마련
- 자영업자, 특수고용직 대상 일·가정 양립 지원 대책 마련

넷째, 아빠와 엄마가 함께 자녀를 돌보는 문화를 확산해야 합니다.
- 엄마와 아빠가 함께하는 양육문화 확산
- 아빠 대상 부모 교육 및 육아 프로그램 운영

양육자가 행복한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 조성을 위해 서울연구원이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출처 : 서울시 양육자의 정신건강·양육 스트레스 실태분석과 지원방향, 김성아·김정아,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 2023)

기획 및 제작: 연구성과확산팀 윤지예, 오승훈

서울시 양육자의 정신건강·양육 스트레스 실태분석과 지원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