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업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
직장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절반 이하(45.7%) 수준
10명 중 9명은 현재 노동이 가능한 상태, 노동 가능자 66.1%는 일하고 있어
- 서울연구원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8.3%는 현재 노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11.7%는 노동 불가능한 상태로 이유는 질병 또는 부상이 과반을 차지
- 현재 노동 가능자 중 66.1%는 현재 일을 하고 있고, 14.3%는 구직 중, 19.6%는 경제활동이나 구직활동을 하고 있지 않아
- 취업자의 고용계약 형태는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인턴, 특히 여성의 비정규직·인턴 비중은 46.2%로 남성(18.6%)보다 높은 편, 비정규직과 인턴의 고용계약 기간은 60.8%가 1년 미만
- 직장 종류는 민간회사 또는 개인사업체(54.9%) 비중이 가장 높고, 현 직장에서의 주된 일은 여성은 서비스 종사자(35.6%), 남성은 단순노무 종사자(23.3%) 비중이 가장 높아
표1. 현재 노동가능 여부(단위: %)
현재 노동가능 여부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근로가능 |
단순근로 가능 |
단순 근로 미약자 |
근로능력 없음 |
합계 |
내용 |
60.3 |
12.0 |
16.0 |
11.7 |
100.0 |
자료: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서울시 거주 북한이탈주민 300명 대상 스노우볼링 방법(눈덩이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 조사기간은 2022년 12월 15일~2023년 1월 16일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2. 근로능력 없음 응답자의 노동 불가능 이유(단위: %)
근로능력없음 응답자의 노동 불가능 이유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질병 또는 부상 |
중증장애 |
기타 |
합계 |
내용 |
68.6 |
25.7 |
5.7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3. 현재 경제활동 참여 상태(단위: %)
현재 경제활동 참여 상태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상용직 임금근로자(고용계약기간 1년 이상) |
임시직 임금근로자(고용계약기간 1개월 이상 1년 미만) |
일용직 임금근로자(고용계약기간 1개월 미만) |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일정한 급여 없이 실적에 따라 보수 지급)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
정부와 서울시의 공공일자리(자활근로 등) |
일을 하지 않고 있으나 구직활동은 하고 있음 |
경제활동이나 구직활동을 하고 있지 않음 |
합계 |
내용 |
35.5 |
12.8 |
5.7 |
4.2 |
2.3 |
2.6 |
3.0 |
14.3 |
19.6 |
100.0 |
주: 근로능력없음 응답자 제외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4. 현 직장에서의 고용계약 형태(단위: %)
현 직장에서의 고용계약 형태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정규직 |
고용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무기 계약직 |
고용계약 기간을 정한 계약직(비정규직) |
고용계약 기간을 정한 유급 인턴 |
합계 |
전체 |
32.0 |
28.6 |
34.9 |
4.6 |
100.0 |
남 |
39.5 |
41.9 |
16.3 |
2.3 |
100.0 |
여 |
29.5 |
24.2 |
40.9 |
5.3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5. 비정규직 및 인턴의 고용계약 기간(단위: %)
비정규직 및 인턴의 고용계약 기간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1개월 미만 |
1~6개월 미만 |
6개월 ~ 1년 미만 |
1~2년 미만 |
2~3년 미만 |
3년 이상 |
합계 |
전체 |
5.8 |
27.5 |
27.5 |
21.7 |
7.2 |
10.1 |
100.0 |
남 |
0.0 |
25.0 |
37.5 |
12.5 |
0.0 |
25.0 |
100.0 |
여 |
6.6 |
27.9 |
26.2 |
23.0 |
8.2 |
8.2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6. 현 직장의 종류(취업자)(단위: %)
현 직장의 종류(취업자)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민간회사 또는 개인사업체 |
외국인 회사 |
정부투자기관/공기업 |
(재단, 사단) 법인단체 등 민간단체 |
정부기관(공무원, 군인 등) |
특정한 회사나 사업체에 소속되어 있지 않음 |
잘 모르겠다 |
합계 |
전체 |
54.9 |
1.7 |
12.0 |
12.6 |
5.1 |
4.6 |
9.1 |
100.0 |
남 |
67.4 |
2.3 |
9.3 |
2.3 |
11.6 |
2.3 |
4.7 |
100.0 |
여 |
50.8 |
1.5 |
12.9 |
15.9 |
3.0 |
5.3 |
10.6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7. 현 직장에서의 주된 일(취업자)(단위: %)
현 직장에서의 주된일(취업자)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관리자 |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
사무 종사자 |
서비스 종사자 |
판매 종사자 |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
단순 노무 종사자 |
기타 |
합계 |
전체 |
9.1 |
16.0 |
14.9 |
30.3 |
6.9 |
0.6 |
3.4 |
16.6 |
2.3 |
100.0 |
남 |
18.6 |
14.0 |
9.3 |
14.0 |
4.7 |
2.3 |
11.6 |
23.3 |
2.3 |
100.0 |
여 |
6.1 |
16.7 |
16.7 |
35.6 |
7.6 |
0.0 |
0.8 |
14.4 |
2.3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취업경로는 10명 중 3명이 지인을 통해 구직
- 현 직장의 취업경로는 북한이탈주민 또는 북한이탈주민이 아닌 지인의 비중이 27.5% 차지
- 직장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45.7%로 절반 이하, 가장 만족도가 낮은 항목은 인사관리(32.0%)
표8. 현 직장의 취업경로(단위: %)
현 직장의 취업경로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북한이탈주민 친척, 친구, 동료 |
대중매체 |
민간 취업알선기관 |
남북하나재단과 하나센터 |
고용노동부 고용센터 |
북한이탈주민이 아닌 친척, 친구, 동료 |
학교, 학원의 추천, 소개, 의뢰 |
시청·군청·구청의 일자리 센터 |
기타 |
합계 |
내용 |
20.6 |
17.7 |
14.9 |
13.1 |
9.1 |
6.9 |
4.6 |
4.0 |
9.0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9. 현 직장 만족도(단위: %)
현 직장 만족도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하는 일(일의 내용, 업무량, 성격 등) |
임금, 급여 (일에 비해) |
근로시간 |
근무환경 |
인사관리(승진, 배치, 이동) |
복리후생(기념일, 수당 등 복지) |
직장에서 나의 장래성 |
인간관계(상하, 동료 간) |
일·가정 양립 직장 문화 |
직장 내 폭력(언어폭력, 성희롱 등) 방지 노력 |
직장 내 교육 훈련 기회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동등한 대우 |
전반적인 만족도 |
내용 |
56.6 |
39.4 |
45.7 |
47.4 |
32.0 |
33.1 |
33.1 |
56.6 |
42.3 |
65.7 |
38.3 |
48.6 |
45.7 |
주: 매우 만족 + 다소 만족 응답률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