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북한이탈주민 69.4% 생계유지에 어려움 겪어
10명 중 6명은 한 달 생활비 100만 원 미만
국내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2명은 서울에 거주
-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9월 말 북한이탈주민은 31,362명이고, 수도권에 65.2%, 서울에 20.6%가 거주
- 연령대 분포는 30대 28.7%, 20대 28.3%, 40대 17.8% 순, 성별로는 여자가 74.6%로 과반을 차지
- 남북하나재단 자료에 따른 2022년 남한 거주기간은 10년 이상이 60.2%, 5년~10년 미만이 28.3%로 대부분이 5년 이상 거주
표1. 전국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2023년 9월 말 기준) (단위: 명, %)
전국 북한이탈주민 지역별 거주 현황(2023년 9월 말 기준)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남 |
7,981 |
5,635 |
2,028 |
여 |
23,381 |
14,807 |
4,445 |
합계 |
31,362 |
20,442 |
6,473 |
여 비율 |
74.6 |
72.4 |
68.7 |
주: 사망, 말소, 이민, 거주불명, 보호시설에 있는 제외
자료: 통일부 주요사업통계 홈페이지
표2. 전국 북한이탈주민 연령대(2023년 9월 말 기준) (단위: %)
전국 북한이탈주민 연령대(2023년 9월 말 기준)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세 이상 |
계 |
남 |
6.8 |
17.9 |
27.7 |
22.8 |
14.8 |
6.2 |
3.8 |
100.0 |
여 |
2.6 |
8.6 |
28.6 |
31.1 |
19.0 |
6.0 |
4.1 |
100.0 |
합계 |
3.8 |
11.2 |
28.3 |
28.7 |
17.8 |
6.1 |
4.0 |
100.0 |
주: 입국 당시 연령 기준이며,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 등에 있는 일부 인원은 제외된 수치로 입국 인원과 차이가 있음
자료: 통일부 홈페이지 주요사업통계
표3. 전국 북한이탈주민 남한 거주 기간 (단위: %)
전국 북한이탈주민 남한 거주 기간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3년 미만 |
3~5년 미만 |
5~10년 미만 |
10년 이상 |
합계 |
내용 |
4.1 |
7.3 |
28.3 |
60.2 |
100.0 |
자료: 남북하나재단, 2022, 북한이탈주민정착실태조사
10명 중 4명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절반 이상은 한 달 생활비 100만 원 미만
- 서울연구원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 결과 서울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37.7%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이며, 10명 중 7명이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
- 한 달 생활비는 58.7%가 100만 원 미만이라고 응답했고, 지출 항목은 식비(35.3%), 교육비(15.7%), 주거 관련비(12.3%) 순
- 거주형태는 공공임대주택(하나원*에서 배정받거나 그 외 공공임대주택)이 절반(46.3%)을 차지
* 하나원: 정식 명칭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로 북한이탈주민의 초기정착에 필요한 보호와 사회적응교육, 제반지원
표4.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여부(단위: %)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여부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예
|
아니오
|
합계
|
내용
|
37.7
|
62.3
|
100.0
|
자료: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서울시 거주 북한이탈주민 300명 대상 스노우볼링 방법(눈덩이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 조사기간은 2022년 12월 15일~2023년 1월 16일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5.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경제적 어려움 겪었다 응답률(단위: %)
지난 1년간 생계유지에 경제적 어려움 겪었다 응답률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전혀 없었다
|
별로 없었다
|
가끔 있었다
|
매우 자주 있었다
|
합계
|
내용
|
7.3
|
23.3
|
42.7
|
26.7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6. 한 달 생활비(단위: %)
한 달 생활비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100만 원 미만
|
100~200만 원
|
200~300만 원
|
300~400만 원
|
400만 원 이상
|
합계
|
내용
|
58.7
|
29.3
|
8.3
|
2.0
|
1.7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7. 생활비 최다 지출 항목(단위: %)
생활비 최다 지출 항목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식비
|
교육비
|
주거 관련비
|
부채상환
|
월세
|
보건 의료비
|
교통비
|
통신비
|
기타
|
합계
|
내용
|
35.3
|
15.7
|
12.3
|
12.0
|
11.7
|
4.7
|
2.7
|
2.0
|
3.6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8. 실 거주지 계약 형태(단위: %)
실 거주지 계약 형태를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공공임대주택
(하나원에서 배정받은 집)
|
보증금이 있는 월세
|
전세(월세 없음)
|
그 외 공공임대주택
|
본인 소유의 집
|
보증금이 없는 월세
|
기숙사, 고시원, 하숙집
|
사글세 또는 연세
|
일정한 거주지 없이 자주 옮겨 다님
|
합계
|
내용
|
39.0
|
28.7
|
13.7
|
7.3
|
5.7
|
4.0
|
1.0
|
0.3
|
0.3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대부분 10년 뒤에도 서울 거주 희망하지만 ‘저축 및 자산형성’이 가장 큰 어려움
- 서울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9명은 10년 후에도 서울에 살기를 희망하지만 서울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은 대체로 50% 미만 수준
- 서울에 거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경제적 부문으로 저축 및 자산형성(48.0%),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45.0%), 경제활동 기회 획득(41.0%) 순
표9. 향후 10년 이후 서울 계속 거주 희망(단위: %)
향후 10년 이후 서울 계속 거주 희망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전혀 그렇지 않다
|
그렇지 않은 편이다
|
어느정도 그렇다
|
매우 그렇다
|
합계
|
내용
|
2.0
|
7.7
|
41.7
|
48.7
|
100.0
|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10.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단위: %)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률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복지환경
|
도시안전
|
주거환경
|
교육환경
|
사회환경
|
경제환경
|
내용
|
52.0
|
50.3
|
48.7
|
46.3
|
31.7
|
27.7
|
주: 매우 만족+ 만족 응답률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
표11. 서울 거주 시 느끼는 어려움(단위: %)
서울 거주 시 느끼는 어려움을 정리한 표입니다.
구분 |
저축 및 자산
형성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편견, 차별
|
경제 활동 기회 획득
|
언어
문제
|
생활문화 적응
|
자녀 양육 및 교육
|
주택 등 주거
공간
|
남한 사람들과의 원활한 유대 관계 맺기
|
공공행정기관을 통한 민원 제기 및 해결
|
지식 및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 기회 획득
|
의료 기관 이용
|
내용
|
48.0
|
45.0
|
41.0
|
33.0
|
32.3
|
31.7
|
31.0
|
30.0
|
29.7
|
29.3
|
9.3
|
주: 매우 어려움 + 어려움 응답률
자료: 서울연구원, 2023, 서울시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삶의 질 실태조사와 정책방향 설문조사 내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