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서울 1인 가구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5.7점
스트레스 요인은 재정 상태, 사회생활에서의 대인관계 순
서울 1인 가구는 10명 중 3명은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어
서울시 1인 가구의 행복지수는 5.7점, 가장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은 재정 상태
- 1인 가구(5.7점)는 다인 가구(6.4점)보다 행복지수가 낮음
- 다인 가구의 행복지수는 남녀가 비슷한 반면, 1인 가구의 경우 50대 이상 여성이 남성보다 행복지수가 높아
- 60대를 제외한 세대의 스트레스 요인 1위는 재정상태, 나이가 들수록 건강상태에 대한 염려가 커지며 60대는 건강상태에 관한 스트레스가 가장 커
표1. 행복지수 평균(10점 척도) (단위: 점)
행복지수 평균(10점 척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1인 가구 |
다인 가구 |
5.7 |
6.4 |
주: 각 세부 항목의 행복지수 점수 산술평균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2. 1인 가구의 각 항목의 행복지수(10점 척도)(단위: 점)
1인 가구의 각 항목의 행복지수(10점 척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남 |
여 |
남 |
여 |
20대 |
6.3 |
6.0 |
6.6 |
6.6 |
30대 |
5.7 |
5.5 |
6.5 |
6.4 |
40대 |
5.2 |
5.2 |
6.2 |
6.3 |
50대 |
5.2 |
6.0 |
6.4 |
6.4 |
60세 이상 |
5.7 |
6.1 |
6.4 |
6.2 |
주: 10점 환산 기준: 가장 행복한 상태 10점, 가장 불행한 상태 0점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3. 1인 가구의 스트레스 요인(1순위+2순위) (단위: %)
1인 가구의 스트레스 요인(1순위+2순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재정 상태 |
사회생활에서의 대인관계 |
과도한 업무/학습량 |
건강 상태 (본인 혹은 가족) |
가족, 친구와의 관계 |
가정관리 |
실업 |
기타 |
20대 |
45.0 |
40.1 |
42.2 |
15.3 |
20.3 |
5.8 |
9.6 |
1.2 |
30대 |
51.4 |
37.0 |
38.6 |
23.1 |
14.3 |
8.3 |
7.5 |
1.2 |
40대 |
50.3 |
32.5 |
29.1 |
29.0 |
17.3 |
10.1 |
7.0 |
2.7 |
50대 |
48.5 |
35.9 |
22.9 |
36.1 |
18.6 |
11.8 |
7.6 |
2.8 |
60세 이상 |
59.4 |
16.4 |
14.9 |
64.0 |
20.9 |
11.7 |
5.6 |
0.9 |
전체 |
50.6 |
33.4 |
32.0 |
30.5 |
18.0 |
8.9 |
7.7 |
1.6 |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금전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돈을 빌려줄 사람이 있다’에 가장 많이 응답한 가구는 20대 1인 가구(88.9%)
- 어려울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고 응답한 1인 가구는 71.1%로 다인 가구(73.8%)와 큰 차이 없어
- 1인 가구의 대부분은 금전, 건강, 우울에 대한 지원망이 다인 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나
- 50세 이상은 돈을 빌려줄 수 있는 사람(42.9%)이 가장 적으며, 같은 연령대의 다인 가구(57.1%)에 견줘 상당히 낮아
표5.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단위: %)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를 정리한 표 입니다
1인 가구 |
다인 가구 |
있다 |
없다 |
있다 |
없다 |
71.1 |
28.9 |
73.8 |
26.2 |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6. 갑자기 금전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돈을 빌려줄 사람이 있는가(단위: %)
갑자기 금전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돈을 빌려줄 사람이 있는가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있다 |
없다 |
있다 |
없다 |
20대 |
70.3 |
29.7 |
64.3 |
35.7 |
30대 |
57.8 |
42.2 |
61.8 |
38.2 |
40대 |
51.3 |
48.7 |
59.6 |
40.4 |
50대 |
51.9 |
48.1 |
60.9 |
39.1 |
60세 이상 |
42.9 |
57.1 |
59.3 |
40.7 |
전체 |
55.4 |
44.6 |
60.9 |
39.1 |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7. 몸이 아플 때 보살펴 줄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단위: %)
몸이 아플 때 보살펴 줄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있다 |
없다 |
있다 |
없다 |
20대 |
70.0 |
30.0 |
73.8 |
26.2 |
30대 |
57.8 |
42.2 |
68.8 |
31.2 |
40대 |
50.9 |
49.1 |
67.5 |
32.5 |
50대 |
53.5 |
46.5 |
70.6 |
29.4 |
60세 이상 |
67.8 |
32.2 |
74.6 |
25.4 |
전체 |
61.7 |
38.3 |
71.4 |
28.6 |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8.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할 사람이 있는가(단위: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할 사람이 있는가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있다 |
없다 |
있다 |
없다 |
20대 |
74.3 |
25.7 |
72.5 |
27.5 |
30대 |
61.4 |
38.6 |
67.6 |
32.4 |
40대 |
55.9 |
44.1 |
66.3 |
33.7 |
50대 |
59.8 |
40.2 |
70.3 |
29.7 |
60세 이상 |
68.4 |
31.6 |
72.7 |
27.3 |
전체 |
65.3 |
34.7 |
70.1 |
29.9 |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