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서울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더 외롭다고 느껴
1인 가구는 이웃보다 공공기관을 더 신뢰
서울시 1인 가구의 외로움은 10점 만점에 5.1점으로 다인 가구(4.6점)보다 높아
- 1인 가구가 가족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외로움은 5.0점으로 다인 가구가 가족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외로움(4.5점)보다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가족보다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외로움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나
- 60세 이상의 1인 가구의 경우 가족과의 관계에서의 느끼는 외로움이 5.7점인 반면,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외로움은 5.4점으로 타인보다 가족에게서 더 외로움을 느낀다고 응답
- 가족과의 생활과 소통(식사, 문제상의)에서 1인 가구는 '가끔 한다'와 '거의 안 한다'의 비중이 높은 반면, 다인 가구에서는 '자주 한다'와 '항상 한다'의 응답 비율이 높아
표1. 외로움(10점 척도) (단위: 점)
서울시민의 외로움(10점 척도)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20대 |
4.8 |
4.3 |
30대 |
5.0 |
4.6 |
40대 |
5.2 |
4.7 |
50대 |
4.9 |
4.6 |
60세 이상 |
5.6 |
4.7 |
전체 |
5.1 |
4.6 |
주: 각 세부 항목의 외로움 점수 산술평균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2. 각 세부 항목의 외로움(10점 척도) (단위: 점)
각 세부 항목의 외로움(10점 척도)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가족과의 관계에서의 느끼는 외로움 |
가족 외의 관계에서의 느끼는 외로움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20대 |
4.6 |
4.1 |
5.1 |
4.4 |
30대 |
4.7 |
4.4 |
5.3 |
4.7 |
40대 |
5.1 |
4.6 |
5.4 |
4.8 |
50대 |
5.0 |
4.6 |
4.9 |
4.6 |
60세 이상 |
5.7 |
4.7 |
5.4 |
4.7 |
전체 |
5.0 |
4.5 |
5.3 |
4.7 |
주: 10점 평균 환산 기준: 매우 느낀다 10점, 전혀 느끼지 않는다 0점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3. 가족과 식사하는가 (단위: %)
가족과 식사하는가에 대한 설문내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거의 안 한다 |
가끔 한다 |
자주 한다 |
항상 한다 |
거의 안 한다 |
가끔 한다 |
자주 한다 |
항상 한다 |
20대 |
18.3 |
48.9 |
21.9 |
10.9 |
2.7 |
26.7 |
45.1 |
25.4 |
30대 |
19.6 |
49.1 |
21.8 |
9.6 |
2.5 |
20.3 |
39.6 |
37.6 |
40대 |
21.7 |
50.9 |
20.3 |
7.0 |
1.9 |
16.1 |
42.5 |
39.5 |
50대 |
25.7 |
42.1 |
20.1 |
12.1 |
2.2 |
18.5 |
41.8 |
37.5 |
60세 이상 |
23.0 |
47.8 |
15.1 |
14.1 |
1.7 |
19.4 |
41.1 |
37.8 |
전체 |
21.1 |
48.3 |
19.8 |
10.9 |
2.1 |
19.9 |
41.9 |
36.0 |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4. 가족과 가정 문제를 상의하는가 (단위: %)
가족과 가정 문제를 상의하는가에 대한 설문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인 가구 |
다인 가구 |
거의 안 한다 |
가끔 한다 |
자주 한다 |
항상 한다 |
거의 안 한다 |
가끔 한다 |
자주 한다 |
항상 한다 |
20대 |
16.9 |
41.0 |
29.2 |
12.9 |
2.7 |
26.7 |
45.1 |
25.4 |
30대 |
20.4 |
42.5 |
26.1 |
10.9 |
2.5 |
20.3 |
39.6 |
37.6 |
40대 |
23.0 |
503 |
20.4 |
6.3 |
1.9 |
16.1 |
42.5 |
39.5 |
50대 |
22.8 |
47.7 |
21.2 |
8.2 |
2.2 |
18.5 |
41.8 |
37.5 |
60세 이상 |
25.1 |
41.3 |
24.4 |
9.2 |
1.7 |
19.4 |
41.1 |
37.8 |
전체 |
21.4 |
43.6 |
25.0 |
9.9 |
2.1 |
19.9 |
41.9 |
36.0 |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2021년 서울시 1인 가구는 가족, 친구, 공공기관, 이웃 순으로 신뢰
- 1인 가구는 이웃에 대한 신뢰를 제외한 전반적인 신뢰도가 다인 가구에 비해 낮으며 특히 가족에 대한 신뢰(8.0점)에서 다인 가구(8.6점)와 큰 차이 보여 1인 가구의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의 경우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이웃에 대한 신뢰도 (4.5점, 4.9점)보다 높아
- 세 이상의 1인 가구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사회적 신뢰도가 높은 편
표5.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신뢰도 (단위: 점)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신뢰도에 대한 설문결과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가족 |
친구 |
공공기관 |
이웃 |
낯선이 |
1인 가구 |
8.0 |
6.7 |
5.4 |
4.5 |
2.4 |
다인 가구 |
8.6 |
6.9 |
5.3 |
4.9 |
2.5 |
주: 10점 평균 환산 기준: 매우 그렇다 10점, 전혀 그렇지 않다 0점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6.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신뢰도_1인 가구 (단위: 점)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신뢰도_1인 가구설문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가족 |
친구 |
공공기관 |
이웃 |
낯선이 |
20대 |
8.2 |
7.0 |
5.3 |
3.9 |
2.3 |
30대 |
7.8 |
6.4 |
4.6 |
3.5 |
1.9 |
40대 |
7.3 |
6.2 |
4.8 |
3.6 |
2.0 |
50대 |
7.6 |
6.7 |
5.2 |
4.6 |
2.5 |
60세 이상 |
8.5 |
7.1 |
6.7 |
6.4 |
3.1 |
전체 |
8.0 |
6.7 |
5.4 |
4.5 |
2.4 |
주: 10점 평균 환산 기준: 매우 그렇다 10점, 전혀 그렇지 않다 0점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
표7.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신뢰도_다인 가구 (단위: 점)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신뢰도_다인 가구에대한 설문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가족 |
친구 |
공공기관 |
이웃 |
낯선이 |
20대 |
8.6 |
7.2 |
5.1 |
4.5 |
2.5 |
30대 |
8.5 |
6.9 |
5.0 |
4.5 |
2.4 |
40대 |
8.4 |
6.8 |
5.0 |
4.7 |
2.3 |
50대 |
8.7 |
7.0 |
5.3 |
5.1 |
2.5 |
60세 이상 |
8.7 |
6.9 |
5.9 |
5.5 |
2.8 |
전체 |
8.6 |
6.9 |
5.3 |
4.9 |
2.5 |
주: 10점 평균 환산 기준: 매우 그렇다 10점, 전혀 그렇지 않다 0점
자료: 서울시, 2021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원 데이터 활용, 가중치 적용 후 1인 가구 7,318명, 다인 가구 31,16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