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 87.6%, 현재 우리사회 갈등이 심각하다고 인식
표 1 우리사회 갈등의 심각성 (단위: %)
우리사회 갈등의 심각성을 정리한 표 입니다
|
심각하지 않다 |
보통이다 |
심각하다 |
매우 심각하다 |
전혀 심각하지 않음 + 심각하지 않음 |
보통 |
매우 심각함 + 심각함 |
전 체 |
0.9 |
11.5 |
61.1 |
26.5 |
0.9 |
11.5 |
87.6 |
자료: 「서울시 사회갈등 이슈 진단과 정책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서울 시민의 도시사회 갈등 인식 조사>, 19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9월16일~9월24일 온라인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세대별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사회갈등으로는
- 20대는 남성과 여성의 갈등(4.45/5점 척도), 30대는 부동산 정책 갈등(4.54), 40대 이상은 진보와 보수의 갈등(4.46이상)을 가장 심각하게 꼽아
표 2 세대별로 심각하게 느끼는 사회갈등은? (단위: 5점 평균)
세대별로 심각하게 느끼는 사회갈등을 정리한 표 입니다
|
빈부격차로 인한 갈등 |
진보와 보수의 이념갈등 |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의 갈등 |
부동산 정책을 둘러싼 갈등 |
‘갑’과 ‘을’ 관계의 갈등 |
노동자와 경영자의 갈등 |
남성과 여성의 갈등 |
개발입장과 보존입장의 환경갈등 |
전 체 |
4.22 |
4.49 |
3.87 |
4.42 |
4.13 |
3.92 |
3.88 |
3.6 |
연령대 |
20대 |
4.18 |
4.43 |
4.03 |
4.34 |
4.02 |
3.79 |
4.45 |
3.37 |
30대 |
4.32 |
4.45 |
3.95 |
4.54 |
4.25 |
4.05 |
4.11 |
3.73 |
40대 |
4.2 |
4.46 |
3.84 |
4.45 |
4.17 |
3.94 |
3.81 |
3.65 |
50대 |
4.22 |
4.53 |
3.77 |
4.32 |
4.1 |
3.9 |
3.45 |
3.58 |
60대 |
4.12 |
4.64 |
3.67 |
4.43 |
4.1 |
3.95 |
3.34 |
3.76 |
|
이웃갈등 |
종교갈등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갈등 |
임대인과 임차인의 갈등 |
디지털 갈등 |
미래기술 갈등 |
다문화 갈등 |
수도권과 지방의 지역갈등 |
전 체 |
3.81 |
3.84 |
3.95 |
3.91 |
3.41 |
3.44 |
3.57 |
3.61 |
연령대 |
20대 |
3.65 |
3.97 |
3.88 |
3.8 |
3.38 |
3.26 |
3.48 |
3.55 |
30대 |
4.02 |
3.9 |
3.92 |
4 |
3.4 |
3.51 |
3.68 |
3.7 |
40대 |
3.99 |
3.88 |
4 |
3.97 |
3.47 |
3.45 |
3.65 |
3.66 |
50대 |
3.68 |
3.67 |
4 |
3.9 |
3.37 |
3.53 |
3.48 |
3.56 |
60대 |
3.63 |
3.73 |
3.95 |
3.79 |
3.42 |
3.44 |
3.57 |
3.56 |
자료: 「서울시 사회갈등 이슈 진단과 정책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서울 시민의 도시사회 갈등 인식 조사>, 19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9월16일~9월24일 온라인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사회갈등의 원인은?
- 전 연령대가 1순위로 ‘편가르기 정치문화’를 우선으로 꼽았으나, 2순위는 20대 ‘상호 이해부족’, 30대와 50대는 ‘빈부격차 심화’, 40대는 ‘언론의 선정적 보도’, 60대는 ‘각자이익 추구’로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음.
표 3 우리사회 갈등의 원인 (단위: %)
우리사회 갈등의 원인을 정리한 표 입니다
|
편 가르기 정치 문화 |
상호 이해 부족 |
빈부격차 심화 |
각자 이익 추구 |
언론의 선정적 보도 |
권위적 경직적 소통문화 |
기회의 불평등 |
조정 기구· 제도 미비 |
기타 |
계 |
전체 |
32.6 |
10.0 |
15.9 |
12.8 |
13.4 |
5.9 |
5.8 |
3.1 |
0.5 |
100.0 |
20대 |
22.8 |
17.2 |
15.3 |
14.4 |
12.6 |
7.4 |
6.5 |
2.3 |
1.4 |
100.0 |
30대 |
29.1 |
8.2 |
20.0 |
12.7 |
12.7 |
5.9 |
6.8 |
4.5 |
0.0 |
100.0 |
40대 |
26.4 |
10.1 |
15.9 |
14.5 |
16.7 |
6.2 |
5.3 |
4.8 |
0.0 |
100.0 |
50대 |
41.1 |
7.4 |
16.0 |
10.0 |
13.4 |
4.8 |
4.3 |
2.2 |
0.9 |
100.0 |
60대 |
54.2 |
4.7 |
8.4 |
12.1 |
9.3 |
4.7 |
6.5 |
0.0 |
0.0 |
100.0 |
자료: 「서울시 사회갈등 이슈 진단과 정책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서울 시민의 도시사회 갈등 인식 조사>, 19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9월16일~9월24일 온라인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 중복 응답 중 1순위 응답만 집계
언제 사회갈등을 느끼는가?
- 사회갈등을 체감하는 상황은 전체적으로 “갈등으로 인한 사건사고 목격”시 크게 느끼지만, 20대의 경우 “온라인 상 의견대립(32.6%)”, 60대 이상은 “정치인들의 대립(35.5%)”시에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남
표 4 연령별 사회갈등을 체감하게 되는 때 (단위: %)
연령별 사회갈등을 체감하게 되는 때를 정리한 표 입니다
|
갈등으로 인한 사건·사고 목격 |
집회나 시위 |
온라인상 의견 대립 |
정치인들의 대립 |
주변의 의견 충돌 |
기타 |
특별히 없다 |
계 |
20~29세 |
32.6 |
22.3 |
32.6 |
5.6 |
5.1 |
1.4 |
0.5 |
100 |
30~39세 |
44.1 |
21.8 |
20.5 |
9.1 |
3.6 |
0.9 |
0.0 |
100 |
40~49세 |
38.3 |
25.6 |
16.7 |
13.2 |
5.7 |
0.4 |
0.0 |
100 |
50~59세 |
33.8 |
27.3 |
8.7 |
25.5 |
3.5 |
1.3 |
0.0 |
100 |
60~64세 |
26.2 |
30.8 |
4.7 |
35.5 |
2.8 |
0.0 |
0.0 |
100 |
자료: 「서울시 사회갈등 이슈 진단과 정책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서울 시민의 도시사회 갈등 인식 조사>, 19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9월16일~9월24일 온라인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사회갈등을 바라보는 태도
- 사회 갈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았으나 젊은층으로 갈수록 긍정적으로 느끼는 비율 증가
표 5 연령대별 사회갈등을 바라보는 태도 (단위: %)
연령대별 사회갈등을 바라보는 태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
매우 부정적이다 |
부정적이다 |
보통이다 |
긍정적이다 |
매우 긍정적이다 |
계 |
20~29세 |
13.0 |
28.8 |
38.1 |
19.1 |
0.9 |
100 |
30~39세 |
10.5 |
39.1 |
32.7 |
16.8 |
0.9 |
100 |
40~49세 |
15.0 |
44.5 |
30.8 |
9.3 |
0.4 |
100 |
50~59세 |
17.7 |
51.5 |
23.4 |
7.4 |
0.0 |
100 |
60~64세 |
30.8 |
48.6 |
16.8 |
3.7 |
0.0 |
100 |
자료: 「서울시 사회갈등 이슈 진단과 정책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서울 시민의 도시사회 갈등 인식 조사>, 19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9월16일~9월24일 온라인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갈등관리, 이렇게 하면 좋겠어요.
- 효과적인 갈등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치 인정(4.13)’, ‘소통문화 정착(4.12)’, ‘비합리적 제도 정비(4.09)’ 등의 순서로 필요하다고 봄
표 5 연령대별 사회갈등을 바라보는 태도 (단위: 점)
연령대별 사회갈등을 바라보는 태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항목 |
5점 평균 |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적 풍토 조성 |
4.13 |
대화 토론 협상 등의 소통문화 정착 |
4.12 |
갈등을 유발하는 비합리적 제도의 정비 |
4.09 |
합리적인 보상체계 구축 |
3.85 |
공청회 등 의사소통절차의 실효성 강화 |
3.83 |
갈등의 조정기능 강화 |
3.82 |
갈등해결을 위한 사회적 합의기구 설치 |
3.75 |
자율적 사전협의 강화 |
3.73 |
제3자의 갈등조정 전문가의 적극 활용 |
3.68 |
갈등 전문인력의 양성 |
3.58 |
자료: 「서울시 사회갈등 이슈 진단과 정책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서울 시민의 도시사회 갈등 인식 조사>, 19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9월16일~9월24일 온라인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