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 69%가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
- 특히 30대 이하에서는 스마트폰 사용률이 80% 이상임
표 1 보행 중 스마트폰 이용 여부 (단위: %)
보행 중 스마트폰 이용 여부를 정리한 표 입니다
연령 |
15~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세 이상 |
계 |
사용함 |
84.0 |
85.7 |
86.8 |
71.7 |
55.6 |
50.0 |
69.0 |
사용하지 않음 |
16.0 |
14.3 |
13.2 |
28.3 |
44.4 |
50.0 |
31.0 |
출처: 「빅데이터와 딥러닝 활용한 서울시 보행사고 분석과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6월1일~6월8일 웹조사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보행 중 동영상 시청, 게임 같은 몰입도 높은 행위를 하는 경우도 69%에 달해
- 보행 중 주로 하는 스마트폰 활동은 ‘통화(70.1%)’-‘메신저(68.8%)’-‘지도(63.2%)’-‘음악(48.7%)’-‘동영상(44.9%)’-‘뉴스(36.7%)’ 이용 순
- 그러나 ‘동영상 시청(44.9%)’, ‘게임(23.6%)’ 등의 몰입도가 높은 활동도 많아
표 2 보행 중 이용하는 스마트폰 활동 (단위: %)
보행 중 이용하는 스마트폰 활동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통화 |
메신저 |
지도 |
음악 |
동영상 |
뉴스 |
소셜 |
쇼핑 |
금융 |
게임 |
만화 |
배달 |
계 |
70.1 |
68.8 |
63.2 |
48.7 |
44.9 |
36.7 |
36.1 |
34.8 |
33.8 |
23.6 |
18.8 |
17.7 |
출처: 「빅데이터와 딥러닝 활용한 서울시 보행사고 분석과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6월1일~6월8일 웹조사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보행 중 스마트폰 활동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으며 10대는 SNS, 20~30대는 메신저, 40대 이상은 통화의 비중이 높아
- 10대는 SNS(69.0%)-메신저(61.9%)-음악(59.5%),
- 20대는 메신저(75%)-음악(66.7%)-지도(58.3%),
- 30대는 메신저(76.8%)-통화(69.5%)-지도(68.2%),
- 40대는 통화(70.5%)-메신저(68.2%)-지도(61.2%),
- 50대는 통화(82.8%)-지도(71.7%)-메신저(64.6%),
- 60대 이상은 통화(83.2%)-지도(70.4%)-메신저(58.4%) 순으로 나타남
표 3 연령대별 보행 중 이용하는 스마트폰 활동 (단위: %)
연령대별 보행 중 이용하는 스마트폰 활동을 정리한 표 입니다
|
통화 |
지도 |
쇼핑 |
게임 |
동영상 |
음악 |
메신저 |
소셜 |
뉴스 |
만화 |
배달 |
금융 |
15~19세 |
50 |
26.2 |
21.4 |
38.1 |
52.4 |
59.5 |
61.9 |
69.0 |
9.5 |
35.7 |
7.1 |
2.4 |
20~29세 |
56.3 |
58.3 |
34 |
29.9 |
53.5 |
66.7 |
75.0 |
50.0 |
20.8 |
28.5 |
20.1 |
26.4 |
30~39세 |
69.5 |
68.2 |
43 |
31.8 |
50.3 |
55.6 |
76.8 |
45.0 |
40.4 |
27.8 |
29.1 |
38.4 |
40~49세 |
70.5 |
61.2 |
42.6 |
22.5 |
41.9 |
48.8 |
68.2 |
24.0 |
51.9 |
17.8 |
18.6 |
40.3 |
50~59세 |
82.8 |
71.7 |
29.3 |
13.1 |
37.4 |
37.4 |
64.6 |
27.3 |
40.4 |
7.1 |
11.1 |
41.4 |
60세 이상 |
83.2 |
70.4 |
26.4 |
11.2 |
35.2 |
24.8 |
58.4 |
17.6 |
40.8 |
1.6 |
8.8 |
34.4 |
출처: 「빅데이터와 딥러닝 활용한 서울시 보행사고 분석과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6월1일~6월8일 웹조사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 메신저는 카카오톡·라인 등이며, SNS는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
‘스마트폰 사용으로 전방 확인을 안 해 충돌 위험’이 73.9%로 최대 불편요인
- 그 외에도 느린 보행속도(18.3%), 사선으로 걷는 행위(5.1%) 등이 지적됨
표 4 보행 중 불편을 주는 타인의 행태 (단위: %)
보행 중 불편을 주는 타인의 행태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느린 보행속도 |
사선으로 걷는 행위 |
전방확인하지 않아 충돌 위험 |
소음 유발 |
계 |
18.3 |
5.1 |
73.9 |
2.4 |
출처: 「빅데이터와 딥러닝 활용한 서울시 보행사고 분석과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6월1일~6월8일 웹조사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스몸비들의 차량사고 발생 시 가해자 지정을 찬성하는 비율도 75%로 높아
표 5 스몸비-차량 사고 발생 시 스몸비 가해자 지정에 대한 의견 (단위: %)
스몸비-차량 사고 발생 시 스몸비 가해자 지정에 대한 의견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찬성 |
반대 |
모름 |
계 |
74.9 |
13.5 |
11.6 |
출처: 「빅데이터와 딥러닝 활용한 서울시 보행사고 분석과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6월1일~6월8일 웹조사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의 적절한 조치는 캠페인 등 시민인식 개선(37%)이 1위
- ‘보행 안전을 위한 스마트폰 경고 기술 개발(25.3%)’ 등 소극적 대응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61.8%로 절반 이상
- 사고 유발 시 과실 비율 부과(20.5%). 보행 시 스마트폰 이용 금지 제도 마련(17.4%) 등 적극적인 조치를 찬성하는 비율은 37.9%
표 6 보행 중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선방안 (단위: %)
보행 중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선방안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보행 시 스마트폰 이용 금지 제도 마련 |
사고 유발 시 과실 비율 부과 |
캠페인 등 시민 인식 개선 |
보행 안전을 위한 스마트폰 경고 기술개발 |
계 |
17.4 |
20.5 |
36.5 |
25.3 |
출처: 「빅데이터와 딥러닝 활용한 서울시 보행사고 분석과 시사점(서울연구원, 2020)」 중 <보행행태 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실태 조사>, 서울시민 1,000명 대상, 2020년 6월1일~6월8일 웹조사 실시(자세한 조사개요는 보고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