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
서울시민의 흡연율은 2012년 23.0%에서 2018년 19.8%로 감소. 2012년 대비 2018년 서울 전체 비만율과 청소년 비만율은 둘 다 증가했고, 법정 감염병 환자도 72.0% 증가. 같은 기간 암질환자는 질환별로 폐암이, 인당 진료비는 자궁경부암이 가장 많이 증가했고, 정신질환자도 2013년 대비 8.3% 증가.
표 1. 현재 흡연율 및 금연 시도율 (단위: %)
현재 흡연율 및 금연 시도율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현재 흡연율 |
23.0 |
22.6 |
21.4 |
20.4 |
20.5 |
20.0 |
19.8 |
금연 시도율 |
32.1 |
31.2 |
31.3 |
37.1 |
32.9 |
28.4 |
23.2 |
자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건강조사(2008~2018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표 2. 비만율 (단위: %)
비만율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전체 |
청소년 |
2012 |
2018 |
2012 |
2018 |
내용 |
23.4 |
28.6 |
5.9 |
10.1 |
주: 2018년 비만율 조사에 실제계측이 도입됐지만, 연도별 비교를 위해 기존의 자가보고 방식결과를 사용함. 2018년 실제계측 비만율은 30.6%임
자료: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지역사회건강조사(2008~2018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표 3. 법정 감염병 (단위: 명, %)
법정 감염병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발생환자 |
사망자 |
환자 증가 상위 3개 질병 |
1군 |
2군 |
3군 |
4군 |
합계 |
성홍열 |
백일해 |
세균성이질 |
2012 |
288 |
4,695 |
11,087 |
38 |
16,108 |
350 |
124 |
6 |
13 |
2018 |
610 |
13,589 |
13,421 |
86 |
27,706 |
403 |
2,355 (19배) |
77 (12.8배) |
43 (3.3배) |
주: 법정 감염병은 환자를 격리, 수용하고 방역 조치할 필요성이 있거나 환자 발생 시 의무적으로 신고해야 하는 감염병
1) 성홍열: 목의 통증과 함께 고열이 나고 전신에 발진이 생기는 전염병, 2) 백일해: 백일해균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3) 세균성이질: 이질균 감염에 의해 급성 염증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
자료: 질병관리본부 및 서울특별시 생활보건과,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표 4. 암질환자 및 인당 진료비 (단위: 명, %, 천 원)
암질환자 및 인당 진료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진료인원 |
인당 진료비 |
2012 |
2018 |
증가율 |
2012 |
2018 |
증가율 |
위암 |
26,915 |
29,024 |
7.8 |
3,097.3 |
3,470.8 |
12.1 |
간암 |
11,726 |
13,397 |
14.3 |
7,819.7 |
8,583.4 |
9.8 |
폐암 |
12,032 |
17,678 |
46.9 |
7,689.3 |
9,863.5 |
28.3 |
대장암 |
27,606 |
29,737 |
7.7 |
4,122.2 |
5,553.8 |
34.7 |
유방암 |
28,941 |
41,959 |
45.0 |
3,916.4 |
4,807.6 |
22.8 |
자궁경부암 |
5,956 |
5,403 |
-9.3 |
2,605.6 |
3,803.0 |
46.0 |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표 5. 정신질환자 (단위: 명, %)
정신질환자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진료인원 |
환자 증가율 상위 3개 질환 |
2013 |
2017 |
F00-F09 증상성 포함 기질성 정신장애 |
F50-F59 생리적 장애 등을 수반한 행동 증후군 |
F40-F48 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신체형 장애 |
내용 |
484,456 |
524,718 |
32.1 |
14.4 |
7.9 |
자료: 건강보험공단 제공자료
문화·관광
서울 밤도깨비야시장 방문객은 2015년 20만 명, 2018년 390만 명으로 20배 증가. 2018년 서울시민의 여가활동은 TV시청이 39.7%로 가장 많고, 한 달 평균 여가 비용을 2014년 보다 4만 4천 원 더 소비. 서울 예술활동증명인은 3만 명 수준. 2018년 인천공항과 김포공항 해외여행 출국자는 2천 2백만 명 이상으로 1월에 가장 많았음. 서울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중 최근 3년 동안 3회 이상 서울을 방문했다는 응답률은 39.7% 수준.
표 1. 서울 밤도깨비야시장 운영 현황
서울 밤도깨비야시장 운영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5 |
2018.10 |
개최기간 |
10.1~10.17 |
3.30~10.28 |
개최장소 |
1개소(여의도) |
6개소(여의도, 반포, DDP, 청계천, 문화비축기지, 청계광장) |
방문객 |
20만 명 |
390만 명 |
매출액 |
5억 원 |
107억 원 |
참여상인(푸드트럭+일반상인) |
120팀 |
506팀 |
자료: 서울시 내부자료 및 2018년 10월 26일자 보도자료
표 2. 여가활동 (단위: %, 천 원)
여가활동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 3순위 |
한 달 평균 여가 비용 |
희망하는 여가 비용 |
TV |
인터넷/SNS |
게임 |
2014 |
45.6 |
14.7 |
4.3 |
123 |
183 |
2018 |
39.7 |
16.4 |
4.4 |
166.6 |
211.6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여가활동조사
표 3. 서울 예술인 현황 (단위: 명, 만 원)
구분 |
예술활동증명 예술인(누적) |
1년간 예술활동 평균 수입 |
2015 |
10,055 |
1,819 |
2018 |
27,891 |
1,451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인실태조사
표 4. 해외여행 출국자 (단위: 명, %)
해외여행 출국자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6 |
2018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전체 |
22,383,190 |
28,695,983 |
10.0 |
8.0 |
7.9 |
7.8 |
8.1 |
8.2 |
8.7 |
8.8 |
7.9 |
8.2 |
7.9 |
8.5 |
인천+김포공항 |
17,825,132 |
22,238,925 |
자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지식정보시스템
표 5. 외래 관광객 (단위: %)
외래 관광객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2016 |
2018 |
2018 방한 목적 |
최근 3년간 방한 횟수 |
1회 |
60.8 |
42.9 |
여가·위락·휴식 80.5% |
사업·전문활동 15.9% |
2회 |
12.8 |
17.4 |
2018 주요 쇼핑 장소(중복응답) |
3회 |
6.7 |
10.5 |
명동 로드샵 62.6% |
4회 |
19.7 |
29.2 |
동대문시장 27.7% |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외래관광객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