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북한이탈주민 10명 중 2명은 서울 거주
- 국내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대 빠르게 증가, 2009년 한 해 동안 3천 명이 입국해 최고기록
- 2019년 6월 기준 국내 거주 북한이탈주민은 3만 명, 서울 거주자는 7천 1백 명으로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23.2% 차지
서울거주 북한이탈주민은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고, 30·40대가 절반
- 서울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성별은 남자 32.1%, 여자 67.9%로 여자가 2배 이상 많아
- 나이는 40대(24.0%), 30대(21.0%), 50대(18.9%) 순으로 30·40대가 절반가량(45.1%) 차지
- 출신지역은 중국·러시아와 인접한 함경북도가 57.6%로 가장 많고, 인접한 양강도(15.6%)가 뒤이어
남한살이,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이 가장 힘들어
- 2018년 서울거주 북한이탈주민은 가정·직장보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더 느낀다고 응답
- 10명 중 1명은 자살충동을 느낀 적 있고, 그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34.5%), 외로움·고독(28.6%), 신체·정신적 질환 장애(26.7%) 순
힘들 때 위로가 되는 사람 ‘이웃·동료’는 1.3% 수준
- 10명 중 5명은 갑자기 많은 돈이 필요할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지인이 없고, 10명 중 2명도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하고 싶을 때 부탁할 지인이 없다고 응답
- 어려운 일이 생기면 의지가 가장 되는 사람은 배우자가 25.1%로 가장 많고, 동료는 1.2%, 이웃은 0.1% 수준
표 1.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단위: 명)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1998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내용 |
947 |
1,043 |
1,142 |
1,285 |
1,898 |
1,384 |
2,028 |
2,554 |
2,803 |
2,914 |
2,402 |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6 |
합계 |
내용 |
2,706 |
1,502 |
1,514 |
1,397 |
1,275 |
1,418 |
1,127 |
1,137 |
546 |
33,022 |
자료: 통일부 홈페이지,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2019.6.기준)
표 2. 2019년 북한이탈주민 현황(단위: 명, %)
2019년 북한이탈주민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경기 |
서울 |
인천 |
충남 세종 |
충북 |
경북 |
경남 |
부산 |
강원 |
대구 |
대전 |
전남 |
광주 |
전북 |
울산 |
제주 |
합계 |
내용 |
9,870 |
7,083 |
2,874 |
1,602 |
1,268 |
1,089 |
1,064 |
1,024 |
770 |
673 |
630 |
619 |
591 |
533 |
530 |
322 |
30,542 |
비율 |
32.3 |
23.2 |
9.4 |
5.2 |
4.2 |
3.6 |
3.5 |
3.4 |
2.5 |
2.2 |
2.1 |
2.0 |
1.9 |
1.7 |
1.7 |
1.1 |
100.0 |
자료: 통일부 홈페이지, 북한이탈주민정책 통계(2019.6.기준)
표 3. 서울 북한이탈주민 성별/연령(단위: %)
서울 북한이탈주민 성별/연령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세 이상 |
합계 |
남 |
0.4 |
7.2 |
20.8 |
21.2 |
17.6 |
18.6 |
14.2 |
100.0 (32.1) |
여 |
0.1 |
3.3 |
16.8 |
21.0 |
27.1 |
19.0 |
12.7 |
100.0 (67.9) |
합계 |
0.2 |
4.6 |
18.1 |
21.0 |
24.0 |
18.9 |
13.2 |
100.0 (100.0) |
주: 거주자 기준으로 사망·말소자와 주소 불명, 이민, 보호시설에 있는 인원 제외
자료: 통일부, 내부자료(2019.3.기준)
표 4. 서울 북한이탈주민 출신지역(단위: %)
서울 북한이탈주민 출신지역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함북 |
양강 |
함남 |
평양 |
평남 |
평북 |
강원 |
황남 |
황북 |
자강 |
남포 |
기타 |
개성 |
합계 |
합계 |
57.6 |
15.6 |
8.9 |
3.9 |
3.8 |
3.0 |
1.9 |
1.5 |
1.4 |
0.9 |
0.7 |
0.6 |
0.2 |
100.0 |
주: 최근 입국하여 보호시설에 있는 일부 인원은 제외된 수치
자료: 통일부, 내부자료(2019.3.기준)
표 5. 스트레스 인지정도(단위: %)
스트레스 인지정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매우 많이 느낌 + 느낌 |
느끼지 않음 |
전혀 느끼지 않음 |
무응답 |
합계 |
가정생활 |
45.5 |
38.6 |
15.9 |
0.0 |
100.0 |
직장생활 |
53.6 |
32.1 |
11.3 |
3.0 |
100.0 |
학교생활 |
53.8 |
36.2 |
8.9 |
1.1 |
100.0 |
전반적인 일상생활 |
56.0 |
36.9 |
6.4 |
0.7 |
100.0 |
주: 2018년 5월 1일 기준 통일부에 등록되어 있는 만 15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중 실제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전문상담사가 직접 대인면접조사를 한 결과, 전국 표본은 3,000명 중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은 1,722명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
표 6. 자살충동 경험과 이유(단위: %)
자살충동 경험과 이유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자살충동 경험 |
이유 |
있음 |
없음 |
합계 |
경제적 어려움 |
외로움과 고독 |
신체·정신적 질환 장애 |
학교성적 및 진학문제 |
친구·동료와 불화 및 따돌림 |
가정 불화 |
이성 문제 |
직장 문제 |
합계 |
내용 |
14.3 |
85.7 |
100.0 |
34.5 |
28.6 |
26.7 |
3.9 |
3.3 |
1.1 |
1.3 |
0.7 |
100.0 |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
표 7. 도움받을 수 있는 주변인물 유무(단위: %)
도움받을 수 있는 주변인물 유무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갑자기 많은 돈을 빌릴 일이 생길 경우 |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
있음 |
없음 |
있음 |
없음 |
있음 |
없음 |
내용 |
45.2 |
54.8 |
77.1 |
22.9 |
81.9 |
18.1 |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
표 8. 어려운 일이 생기면 의지가 가장 되는 사람(단위: %)
어려운 일이 생기면 의지가 가장 되는 사람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배우자 |
부모 |
자녀 |
친구 |
형제·자매 |
자기자신 |
애인 |
없음 |
성직자 |
기타 |
동료 |
무응답 |
이웃 |
합계 |
내용 |
25.1 |
17.1 |
13.1 |
12.7 |
9.8 |
9.5 |
3.3 |
3.2 |
3.0 |
1.6 |
1.2 |
0.3 |
0.1 |
100.0 |
자료: 통일부(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하나재단), 2018, 북한이탈주민사회통합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