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 18.7%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알고 있어”
- 서울시는 가계부채 등 재무상태 악화로 고통받는 시민에게 정보 제공과 실질적인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설립
- 서울시민 18.7%는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를 알고 있고 실제 이용률은 3.4%로 낮지만 이용자 절반 이상은 서비스에 만족
상담내용 10건 중 6건 이상은 ‘파산면책’
- 상담 건은 2018년 11월 말 기준 6년간 9만 5천 건으로 매년 증가, 2018년 월평균 2,178건꼴
- 6년간 상담내용은 파산면책이 65.2%로 가장 많고, 이어 정보제공(10.5%), 개인회생(7.5%) 순이며 파산면책은 2013년 1,256건에서 2018년 15,170건으로 12배 이상 증가
- 가계부채에 따른 경제취약계층 4,735명이 채무조정 면책을 지원받았고 금액은 1.1조 원 이상
채무조정 이후 여전히 생활비(42.1%)와 주거비(20.5%) 마련에 어려움 겪어
- 내담자 성별은 남성이 54.0%, 여성이 46.0% 차지, 연령은 50대가 28.7%로 가장 많아
- 직업은 무직상태가 57.5%로 가장 많고 단순노무(14.9%), 서비스직(8.2%) 순, 부채사유는 사업자금 마련이 41.6%로 가장 많고 생활비(18.9%), 보증채무(9.7%) 순(기타제외)
- 채무조정 이후 33.2%는 생활상에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한 반면, 이를 제외한 나머지는 생활비·주거비·의료비 등 생활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
표 1.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인지 여부 (단위: %)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인지 여부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인지여부 |
경험여부 |
들어본 적 있다 |
들어본 적 없다 |
이용한 적 있다 |
이용한 적 없다 |
내용 |
18.7 |
81.3 |
3.4 |
96.6 |
주: 서울 거주 만 19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조사와 개별대인 면접조사 시행(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 ±3.1%p)
자료: 서울연구원, 2018, 서울시 가계부채 진단과 정책방향
표 2.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이용자 만족도 (단위: %)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이용자 만족도를 정리한 표 입니다
|
불만족 |
보통 |
만족 |
매우 만족 |
내용 |
5.9 |
35.3 |
52.9 |
5.9 |
주: 서울 거주 만 19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조사와 개별대인 면접조사 시행(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 ±3.1%p)
자료: 서울연구원, 2018, 서울시 가계부채 진단과 정책방향
표 3. 분야별 상담 현황 (단위: 건, %)
분야별 상담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파산면책 |
정보제공 |
개인회생 |
워크아웃 |
서비스연계 |
재무설계 |
기타 |
합계 |
총계 |
62,037 |
9,991 |
7,166 |
4,305 |
2,215 |
1,613 |
7,860 |
95,187 |
비율 |
65.2 |
10.5 |
7.5 |
4.5 |
2.3 |
1.7 |
8.3 |
100.0 |
2013년 |
1,256 |
1,749 |
285 |
248 |
64 |
101 |
907 |
4,610 |
2014년 |
6,421 |
1,209 |
986 |
602 |
269 |
490 |
934 |
10,911 |
2015년 |
11,146 |
1,068 |
1,337 |
896 |
653 |
325 |
1,785 |
17,210 |
2016년 |
12,652 |
1,119 |
1,204 |
947 |
600 |
218 |
1,362 |
18,102 |
2017년 |
15,392 |
1,126 |
1,499 |
856 |
329 |
213 |
982 |
20,397 |
2018년 |
15,170 |
3,720 |
1,855 |
756 |
300 |
266 |
1,890 |
23,957 |
’13년 대비 ’18년 증가(배) |
12.1 |
2.1 |
6.5 |
3.0 |
4.7 |
2.6 |
2.1 |
5.2 |
주: 2013년 7월 ~ 2018년 11월 말 기준 자료
자료: 서울시복지재단 내부자료
표 4. 채무조정 접수 현황 (단위: 명, 억 원)
채무조정 접수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파산면책 |
개인회생 |
합계 |
채무조정 신청액 |
총계 |
4,735 |
189 |
4,924 |
11,390 |
2013년 |
119 |
3 |
122 |
131 |
2014년 |
605 |
46 |
651 |
1,175 |
2015년 |
974 |
36 |
1,010 |
2,571 |
2016년 |
1049 |
32 |
1,081 |
1,803 |
2017년 |
1056 |
27 |
1,083 |
3,908 |
2018년 |
932 |
45 |
977 |
1,802 |
주: 2013년 7월 ~ 2018년 11월 말 기준 자료
자료: 서울시복지재단 내부자료
표 5. 성별/연령별 내담자 (단위: %)
성별/연령별 내담자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성별 |
연령별 |
남성 |
여성 |
합계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이상 |
합계 |
내용 |
54.0 |
46.0 |
100.0 |
1.0 |
3.3 |
13.2 |
23.6 |
28.7 |
21.0 |
7.8 |
1.4 |
100.0 |
주: 내담자는 무응답, 간단 상담으로 인한 미파악 등의 사유로 전체 상담건수와 차이가 있고 위의 자료는 2013년 7월 ~ 2018년 11월 말 기준 내담자 29,484명에 해당하는 자료임
자료: 서울시복지재단 내부자료
표 6. 직업별 이용자 (단위: %)
직업별 이용자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무직 |
단순 노무 |
서비스직 |
사무직 |
자영업 |
영업직 |
전문직 |
관리직 |
공무원 |
학생 |
농어업 및 축산 |
기타 |
합계 |
내용 |
57.5 |
14.9 |
8.2 |
6.7 |
5.9 |
2.4 |
1.9 |
1.3 |
0.6 |
0.5 |
0.1 |
0.0 |
100.0 |
주: 내담자 29,484명 중 직업상황이 파악된 17,429명 기준
자료: 서울시복지재단 내부자료
표 7. 부채발생 사유 (단위: %)
부채발생 사유를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사업자금 마련 |
생활비 (주거·의료·교육 등) |
보증채무 |
거주주택 마련 |
전월세 보증금 마련 |
부채 상환 |
거주주택이외 부동산 마련 |
증권투자자금 마련 |
사기피해 |
결혼자금 마련 |
낭비 (음주, 쇼핑 등) |
명의도용 (대여) |
도박 |
기타 |
합계 |
내용 |
41.6 |
18.9 |
9.7 |
5.1 |
2.1 |
1.3 |
1.0 |
0.5 |
0.3 |
0.2 |
0.2 |
0.1 |
0.0 |
18.9 |
100.0 |
주: 내담자 29,484명 중 부채발생 사유가 파악된 6,164명 기준
자료: 서울시복지재단 내부자료
표 8. 채무조정 이후 생활상의 어려움(복수응답) (단위: %)
채무조정 이후 생활상의 어려움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생활비 |
없다 |
주거비 |
의료비 |
고용(구직) |
기타 |
면책에서 제외된 채무상환 |
불법추심 |
내용 |
42.1 |
33.2 |
20.5 |
17.5 |
9.3 |
8.3 |
4.4 |
1.4 |
주: 2016년 5월 기준 개인회생절차 인가를 받은 1,079명 중 응답자 269명 기준
자료: 서울시복지재단, 2016년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