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서울시 등록 자동차 5대 중 1대는 강남·서초·송파구 등록 차량
- 2017년 기준 서울에 등록된 자동차는 312만 대, 수입차는 44만 대, 자동차와 수입차 등록대수 모두 강남구에 가장 많아(238,311대, 71,546대)
- 가구당 자동차 등록대수는 강남권이 0.90, 강북권이 0.73이고 수입차는 강남권이 0.14, 강북권이 0.09
- 가구당 자동차 등록대수가 1.0이 넘는 자치구는 강남구와 서초구, 수입차도 강남구와 서초구가 상대적으로 많아
표 1. 서울시 자동차/수입차 등록 현황 (단위: 대, 가구)
서울시 자동차/수입차 등록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전체 |
수입차 |
가구당 |
구분 |
전체 |
수입차 |
가구당 |
전체 |
수입차 |
전체 |
수입차 |
서울시 |
3,116,256 |
439,620 |
0.82 |
0.12 |
서
남
권 |
양천구 |
150,823 |
17,391 |
0.93 |
0.11 |
도
심
권 |
종로구 |
50,828 |
8,807 |
0.81 |
0.14 |
강서구 |
202,063 |
19,877 |
0.87 |
0.09 |
중구 |
51,540 |
11,192 |
0.99 |
0.21 |
구로구 |
143,960 |
10,825 |
0.92 |
0.07 |
용산구 |
77,458 |
20,947 |
0.85 |
0.23 |
금천구 |
86,427 |
5,866 |
0.91 |
0.06 |
동
북
권 |
성동구 |
103,116 |
18,628 |
0.85 |
0.15 |
영등포구 |
146,150 |
23,408 |
0.99 |
0.16 |
광진구 |
98,631 |
12,793 |
0.67 |
0.09 |
동작구 |
104,837 |
12,740 |
0.65 |
0.08 |
동대문구 |
97,507 |
10,124 |
0.67 |
0.07 |
관악구 |
122,103 |
9,835 |
0.53 |
0.04 |
중랑구 |
113,916 |
7,450 |
0.72 |
0.05 |
동
남
권 |
서초구 |
181,546 |
50,675 |
1.17 |
0.33 |
성북구 |
117,209 |
12,905 |
0.68 |
0.07 |
강남구 |
238,311 |
71,546 |
1.15 |
0.35 |
강북구 |
77,820 |
5,323 |
0.61 |
0.04 |
송파구 |
231,819 |
38,784 |
0.98 |
0.16 |
도봉구 |
97,323 |
6,308 |
0.77 |
0.05 |
강동구 |
136,558 |
13,706 |
0.85 |
0.09 |
노원구 |
154,708 |
11,133 |
0.76 |
0.05 |
강북권 |
1,371,659 |
164,967 |
0.73 |
0.09 |
서
북
권 |
은평구 |
129,004 |
10,627 |
0.72 |
0.06 |
서대문구 |
86,068 |
10,178 |
0.68 |
0.08 |
강남권 |
1,744,597 |
274,653 |
0.90 |
0.14 |
마포구 |
116,531 |
18,552 |
0.76 |
0.12 |
자료: 서울통계, 2017년, 자동차 등록 현황, 수입차 등록 현황, 구별 가구 현황
도로연장은 성북구, 도로면적은 서초구, 도로율은 광진구가 가장 높아
- 2017년 자치구별 도로연장은 성북구가 627km로 가장 길고, 뒤이어 강남구(435km), 마포구(420km) 순으로 상위 5개 자치구 중 3곳이 강북권에 위치
- 도로면적은 서초구(5.73㎢) 강남구(5.67㎢), 송파구(4.87㎢) 순으로 강남 3구가 서울전체 도로면적의 약 20% 차지, 서초구와 중구는 약 3배 차이
도로율은 광진구(28.45%), 마포구(28.23%), 양천구(27.12%) 순
-
-
-
표 2. 서울시 도로 현황 (단위: km, ㎢, %)
서울시 도로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도로연장 |
도로면적 |
도로율 |
구분 |
도로연장 |
도로면적 |
도로율 |
서울시 |
8,271 |
86 |
22.71 |
서
남
권 |
양천구 |
404 |
3.62 |
27.12 |
도
심
권 |
종로구 |
275 |
2.68 |
21.31 |
강서구 |
385 |
4.6 |
24.46 |
중구 |
114 |
1.88 |
18.82 |
구로구 |
294 |
3.16 |
21.61 |
용산구 |
281 |
3.15 |
22.15 |
금천구 |
188 |
2.16 |
19.85 |
동
북
권 |
성동구 |
408 |
3.02 |
23.07 |
영등포구 |
389 |
4.43 |
23.49 |
광진구 |
324 |
3.39 |
28.45 |
동작구 |
248 |
2.73 |
17.16 |
동대문구 |
327 |
3.14 |
22.07 |
관악구 |
322 |
3.03 |
25.41 |
중랑구 |
334 |
2.94 |
25.97 |
동
남
권 |
서초구 |
395 |
5.73 |
26.06 |
성북구 |
627 |
4.01 |
22.41 |
강남구 |
435 |
5.67 |
23.46 |
강북구 |
227 |
1.97 |
20.79 |
송파구 |
367 |
4.87 |
20.31 |
도봉구 |
257 |
2.35 |
18.98 |
강동구 |
290 |
3.52 |
24.18 |
노원구 |
295 |
3.83 |
23.63 |
강북권 |
4,552 |
42.5 |
- |
서
북
권 |
은평구 |
352 |
3.33 |
20.92 |
서대문구 |
311 |
2.72 |
17.11 |
강남권 |
3,717 |
43.5 |
- |
마포구 |
420 |
4.06 |
28.23 |
주: 도로율은 도로면적(=국도,특별시도,구도)/시가화면적으로 '도로면적/행정구역면적'과 다르므로 활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시가화면적은 행정구역면적에서 시가화될 수 없는 공원, 임야, 하천 등을 제외한 면적을 말함
자료: 서울통계, 2017년, 도로 현황
주차면 확보율, 주택가 주차면 확보율은 근소하게 강남권이 더 높아
- 2017년 서울에 등록된 자동차는 312만 대, 주차면수는 405만 개, 주차면 확보율은 130.1%
- 주차장과 주차면수 모두 강남구에 가장 많고(20,348개, 390,451개), 전체 주차면수 중 23.4%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위치
- 주차면 확보율은 도심에 위치한 중구와 종로구(193.1%, 177.3%)가 가장 높고, 주택가 주차면 확보율은 은평구와 성북구(121.2%, 116.8%)가 가장 높아
- 강남권이 강북권보다 주차면 확보율은 1.4%p, 주택가 주차면 확보율은 1.0%p 더 높아
표 3. 서울시 주차장/주차면수 현황 (단위: 개, %)
서울시 주차장/주차면수 현황을 정리한 표 입니다
구분 |
주차장수 |
주차면수 |
주차면
확보율 |
주택가
확보율 |
구분 |
주차장수 |
주차면수 |
주차면
확보율 |
주택가
확보율 |
서울시 |
308,025 |
4,053,875 |
130.1 |
101.9 |
서
남
권 |
양천구 |
11,811 |
162,185 |
107.5 |
96.5 |
도
심
권 |
종로구 |
7,220 |
90,099 |
177.3 |
82.7 |
강서구 |
18,630 |
259,917 |
128.6 |
100.7 |
중구 |
4,152 |
99,538 |
193.1 |
78.8 |
구로구 |
10,219 |
177,729 |
123.5 |
98.9 |
용산구 |
7,291 |
112,712 |
145.5 |
108.6 |
금천구 |
9,393 |
121,784 |
140.9 |
82.7 |
동
북
권 |
성동구 |
6,658 |
123,306 |
119.6 |
99.9 |
영등포구 |
10,018 |
171,180 |
117.1 |
80.6 |
광진구 |
16,304 |
127,454 |
129.2 |
104.6 |
동작구 |
13,313 |
119,153 |
113.7 |
100.9 |
동대문구 |
9,485 |
123,174 |
126.3 |
94.5 |
관악구 |
19,504 |
148,454 |
121.6 |
105.7 |
중랑구 |
12,170 |
122,128 |
107.2 |
104.8 |
동
남
권 |
서초구 |
13,360 |
266,362 |
146.7 |
102.7 |
성북구 |
13,038 |
155,064 |
132.3 |
116.8 |
강남구 |
20,348 |
390,451 |
163.8 |
95.3 |
강북구 |
10,528 |
88,173 |
113.3 |
111.6 |
송파구 |
18,009 |
290,809 |
125.4 |
104.7 |
도봉구 |
9,593 |
112,527 |
115.6 |
112.6 |
강동구 |
15,510 |
172,390 |
126.2 |
115.4 |
노원구 |
6,612 |
175,553 |
113.5 |
103.2 |
강북권 |
147,910 |
1,773,461 |
129.3 |
105.2 |
서
북
권 |
은평구 |
19,119 |
160,593 |
124.5 |
121.2 |
서대문구 |
11,835 |
116,018 |
134.8 |
101.0 |
강남권 |
160,115 |
2,280,414 |
130.7 |
106.2 |
마포구 |
13,905 |
167,122 |
143.4 |
103.1 |
주: 주차장 확보율=(전체 주차장면 수/등록 자동차 수)*100, 주택가 주차장 확보율=(주택가 주차장면 수/등록 자가용승용차 수)*100
자료: 서울통계, 2017년, 자동차 등록 현황, 주차장 현황, 주택가 주차장 현황
2017년 기준 서울에 등록된 자동차 수와 수입자동차 수 모두 강남권이 강북권보다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자동차 수 238,311대, 수입자동차 수 71,546대)가 1위를 기록했다. 가구당 자동차 등록대수가 1.0대를 넘는 자치구는 강남구와 서초구로 조사됐으며, 가구당 수입자동차 등록대수도 강남구와 서초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주차장과 주차면수도 강남구가 가장 많았고, 전체 주차면수 중 23.4%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위치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도로연장은 성북구(627km)가, 도로면적은 서초구(5.73㎢)가, 도로율은 광진구(28.45%)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